[단독]무인로봇이 ‘훠이훠이’ 시속50km 맹렬 추적… 레이저 쏴 첨단 퇴치

  • Array
  • 입력 2012년 2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공군비행장 새떼 쫓아내기의 진화… “공포탄 병사 비켜” 무인로봇 떴다

《 6일 오후 충남 서산시 해미면에 위치한 공군 20전투비행단. 3km에 이르는 활주로의 한쪽 끝에 F-16 신형 전투기 2대가 서 있다. ‘웅∼.’ 엔진 소리가 곧 이륙할 태세다. 그때 갑자기 ‘펑’ 하는 두어 발의 총탄 소리가 들렸다. 활주로 상공을 가로지르던 기러기 10여 마리가 날개를 퍼덕이며 멀어져 갔다. 현동선 20전투비행단 조류담당 군무원은 “전투기가 이륙하기 전에는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사고)’ 를 막기 위해 새를 쫓아내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새가 사라지자 전투기는 굉음을 내며 순식간에 하늘로 치솟았다. ‘펑’ 소리를 낸 주인공은 바퀴가 6개 달린 로봇. 한국원자력연구원이 LIG넥스원 등과 2009년 개발을 시작해 지난해 완성한 ‘조류 퇴치 로봇’이다. 원자력연구원은 지난해 9월부터 20전투비행단에서 로봇의 성능을 테스트해 왔다. 이날 시험이 벌써 8번째다. 》

○ 초록 레이저 뿜어내고 100dB(데시벨) 매 울음소리 뱉어내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이 LIG넥스원 등과 3년에 걸쳐 개발한 ‘조류 퇴치 로봇’. 스스로 작동해 새를 쫓아내는 로봇이 개발된 건 세계에서 처음이다. 로봇은 새떼가 나타나면 레이저를 쏘거나 새가 싫어하는 소리를 내 멀리 쫓아낸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이 LIG넥스원 등과 3년에 걸쳐 개발한 ‘조류 퇴치 로봇’. 스스로 작동해 새를 쫓아내는 로봇이 개발된 건 세계에서 처음이다. 로봇은 새떼가 나타나면 레이저를 쏘거나 새가 싫어하는 소리를 내 멀리 쫓아낸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버드 스트라이크는 군 공항의 말 못할 골칫거리다. 새 한 마리가 전투기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겠느냐 싶지만 대수롭게 여길 일이 아니다. 가령 시속 370km로 비행하는 전투기에 900g 정도인 청둥오리 한 마리가 부딪치면 그때 충격이 4.8t에 이른다. 전투기 엔진에 빨려 들어가기라도 하면 추락 위험까지 있다. 조종사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다. 이 때문에 비행훈련에서 전투기가 이륙하기 전 비행장 주변의 새를 쫓아내는 절차는 필수다. 이날 비행훈련에서는 F-16이 10대 이상 이륙했고 그때마다 이륙 직전 새를 쫓는 작업이 계속됐다.

조류 퇴치 로봇의 키는 2.5m, 무게는 1.4t이다. 머리에는 원형 스피커가 달려 있다. ‘펑’ 소리도 이곳에서 나왔다. 300m 떨어진 거리까지 최고 100dB에 이르는 큰 소리를 토해낸다. 총이나 대포 소리 외에 새의 울음소리도 낸다. 천적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본능적으로 피하는 새의 습성을 이용한 것이다. 시끄러운 매 울음소리를 틀자 청둥오리들이 재빨리 자리를 떴다. 조류 퇴치 로봇은 현재 13종류의 소리를 여러 방식으로 조합해 내보낼 수 있다.

스피커 옆에는 레이저가 달려 있다. 1∼2km 거리에서 한 무리의 새들이 나타나자 레이저가 초록색 빛을 뿜어냈다. 새는 레이저를 보면 막대기로 착각해 위협을 느끼고 피한다. 초록색 레이저를 발사하자 새들의 날갯짓이 한층 빨라지며 저 멀리 사라졌다.

스피커와 레이저 옆에는 카메라도 두 대 달려 있다. 300m 이내의 거리에서 길이 30cm 정도인 새가 나타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새를 포착한다. 새가 이동하자 카메라도 따라 움직이며 새가 시야에서 사라질 때까지 추적했다. 카메라 한 대는 열영상 방식이어서 야간에도 가동할 수 있다.

[채널A 영상] “새-전투기 충돌하면 4톤 넘는 충격이 고스란히…”

○ 6월 테스트 끝낸 뒤 시범 운영

조류 퇴치 로봇의 가장 큰 특징은 스스로 새를 쫓아다닐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점이다. 조류 퇴치 로봇 개발 책임자인 김창회 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혼자 움직이는 조류 퇴치 로봇이 개발된 건 세계 처음”이라고 말했다. 관제실에서 사람이 조종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류 퇴치 로봇은 전기배터리로 움직이며 활주로 주위에서 활동한다. 배터리를 충전하면 8시간 동안 최대 시속 50km로 달릴 수 있다. 수풀에서는 최대 시속 30km로 움직인다. 메뚜기를 잡아먹으려고 새가 활주로 옆의 수풀에 내려앉으면 조류 퇴치 로봇이 지그재그로 돌진해 새를 쫓아낸다.

여기에는 원자로에 사용되는 기술이 적용됐다. 원자로에는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만큼 보수가 필요할 때 사람이 직접 들어가지 않고 로봇을 이용한다. 원자로 제어도 원격으로 이뤄진다. 이들 기술이 조류 퇴치 로봇에도 사용됐다. 김 연구원은 “로봇이 고장 나더라도 전투기와의 충돌사고 예방을 위해 활주로에는 절대 들어가지 못하도록 설계하는 등 안전기술도 들어갔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테스트 결과는 성공적이다.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진 프랑스 레이저 퇴치 시스템의 퇴치율(새를 내쫓는 비율)이 40%인데 조류 퇴치 로봇은 이보다 높은 60%로 분석됐다.

현 군무원은 “영하 20도를 밑도는 겨울 한파나 36도를 웃도는 한여름 살인적인 더위에도 비행이 있는 날에는 병사들이 공포탄을 쏴 새를 쫓아낸다”면서 “조류 퇴치 로봇이 도입되면 병사들의 체력 부담을 덜고 효율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류 퇴치 로봇이 우수하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공군 비행장 여러 곳에서 테스트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원자력연구원은 올해 1월부터 원주비행장에서도 조류 퇴치 로봇을 테스트 중이며 3월부터는 수원비행장에서도 테스트를 한다. 공군은 6월 로봇 테스트가 완료되는 대로 시범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서산=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uneasy7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