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민심 여론조사]한나라 26.3% vs 민주 27.3%… 4·11총선 지지도 첫 역전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설 연휴 직후(24일) 실시된 동아일보 총선 여론조사에서 민주통합당 후보 지지율이 한나라당 후보 지지율을 오차 범위인 1.0%포인트 격차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겉으로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지지율이 비슷해 여야의 박빙 승부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30%에 이르는 부동층·무응답층 중에는 야권 성향 유권자가 더 많다고 가정할 때 한나라당이 고전할 수 있는 구도라는 분석이 있다.

▶ (통계표) 동아일보 설특집 기획조사
▶ (통계표) 동아일보 설특집 기획조사

○ 40대 표심 이탈

‘4월 총선에서 어느 정당 후보를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7.3%는 민주당을, 26.3%는 한나라당을 꼽았다. 이어 기존 정당이 아닌 무소속 후보 9.0%, 통합진보당 후보 5.0%, 자유선진당 후보 1.9% 순으로 나왔다.

동아일보가 지난해 12월 26, 27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한나라당 후보 지지가 31.9%, 민주당 후보 지지는 23.2%로 나타났다. 두 조사를 비교하면 한나라당은 한 달 만에 5.6%포인트가 줄었고 민주당은 4.1%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무소속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한 달 전 13.5%에서 4.5%포인트 낮아졌다.

모름·무응답은 26.3%에서 30.5%로 높아져 향후 이들의 향배에 승패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부동층·무응답층은 역대 여론조사와 선거 결과를 비교 분석해볼 때 대체로 야당 성향을 띠었다. 민주당 등 야당 지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한나라당은 이들의 표심을 붙들기 위해 쇄신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도 야권 통합 움직임 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여 앞으로 여야의 선거운동이 부동층·무응답층의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의 특징 중 하나는 40대의 표심이 민주당으로 기울고 있다는 점이다. 12월 조사에서는 40대의 28.8%가 한나라당을 지지했으나 이번에는 19.0%로 나왔다. 한 달 만에 9.8%포인트가 급격히 줄었든 것으로 40대의 이탈 현상이 현실로 나타난 셈이다.

반면 민주당의 경우는 40대 지지율이 12월 21.2%에서 32.0%로 껑충 뛰었다. 다른 연령층은 기존 추세가 그대로 유지됐다. 20, 30대에서는 민주당이 높았고 50대 이상에선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높았다.

한나라당은 대구·경북(41.2%)에서만 민주당(13.7%)에 여유 있게 우세를 유지했을 뿐 부산·울산·경남에선 불과 9.4%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민주당이 한나라당을 2.4%포인트, 인천·경기에서는 한나라당이 민주당을 2.4%포인트 앞섰다, 이처럼 정당 지지율이 비슷하게 나타남에 따라 경쟁력 있는 인물로 승부하기 위한 여야의 후보 영입 경쟁도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 “현역 의원 절반 교체해야”


현재 여야가 총선 출마자 결정을 위한 공천심사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유권자 10명 중 5명은 현역 의원을 물갈이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지역 국회의원이 다시 출마한다면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에 ‘지지할 것이다’는 답변은 28.4%에 그쳤고 49.4%는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했다. 한나라당 강세 지역인 대구·경북에서는 현역 의원을 지지하지 않겠다는 답변(48.4%)이 지지하겠다는 답변(32.8%)보다 많았고 민주당 텃밭인 광주·전남북에서도 비(非)지지 응답이 45.1%에 달했다. 서울(53.1%)과 인천·경기(53.5%), 강원·제주(55.0%)에선 지지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전국 평균(49.4%)을 웃돌았다. 연령별로는 20, 30대에서 교체 요구가 현역 지지의 두 배가 넘었다. 특히 40대에서 지지하지 않겠다는 답변(57.1%)이 지지하겠다는 답변(22.4%)의 2.5배에 달했다.

이번 총선에서 국회에 진출해야 하는 적합 직업군으로는 ‘법조계·경제계 등 전문가’가 26.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소외계층을 위해 활동한 ‘사회봉사자’가 23.0%로 공익활동 여부가 정치권 진입의 중요한 기준으로 떠올랐다. 시민단체에서 활동한 ‘사회운동가’도 16.5%를 기록했다. 반면 정치권에서 줄곧 활동한 ‘정당인’은 10.3%에 그쳤고 대학이나 연구소 등에서 활동한 ‘학자’는 5.8%, 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공직자’는 3.7%로 낮았다.

고성호 기자 sung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