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기정동에 개성공단 근로자 숙소?… 통일부 “확인된 내용 없다”

  • Array
  • 입력 2011년 7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남북출입사무소 관계자 설명… 노동력 외부조달 확대 주목

판문점에서 바라본 북한 기정동 마을 전경. 기정동은 비무장지대(DMZ) 내 북한의 대남 선전마을이다. 동아일보DB
판문점에서 바라본 북한 기정동 마을 전경. 기정동은 비무장지대(DMZ) 내 북한의 대남 선전마을이다. 동아일보DB
비무장지대(DMZ) 내 북측 최남단 선전마을인 기정동에 개성공단 근로자들이 살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거주 주민 없이 선전용으로 세워진 것으로 알려진 마을이 북측 개성공단 근로자들의 숙소로 사용되고 있다는 말이 나오면서 그 진위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CIQ) 관계자는 15일 경기 파주시 CIQ 회의실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개성공단 인근에 있는 기정동은 예전에는 주민이 거의 살지 않았지만 지금은 개성공단 근로자의 숙소로 이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개성공단을 포함해 CIQ 주변의 현황을 설명하면서 “최근 기정동이 확장 추세에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 관계자의 발언은 북한 당국이 개성공단에서 일할 북측 근로자 수요가 늘면서 기존 개성시 인력으로 한정했던 인력조달 범위를 외부로 확대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북측이 개성시 외부에 거주하는 주민을 개성공단 근로자로 데려오기 시작했고 기정동의 주택을 이들의 기숙사로 사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남북관계 경색 국면 속에서도 개성공단은 계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개성시에서 공급할 수 있는 노동력은 한계 상황에 이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개성공단의 북한 근로자는 4만782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이상 늘었다. 개성공단관리위원회가 개성시 외곽지역의 주민들까지 공단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통근버스까지 지원하고 있지만 입주기업들의 인력 수요를 채우는 데는 역부족이다.

남북 당국은 2007년 12월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 숙소 건설·운영에 관한 합의서’를 채택하고 1만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근로자 숙소를 건립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후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남북관계가 악화된 데다 이른바 개성공단 ‘3통(통행 통신 통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논의가 중단된 상태다. 기숙사 설립에 따른 남측 입주기업들의 비용부담도 걸림돌로 지적됐다.

그러나 기정동 마을이 북측 근로자들의 숙소로 활용된다면 개성공단 내 인력공급과 비용부담 완화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개성공단만큼은 유지하겠다는 북한 당국의 의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러나 통일부는 17일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이 없다”며 이를 부인했다. 통일부 당국자들은 “브리핑한 직원이 개인적으로 들은 이야기일 뿐”이라며 현재의 남북관계에서 개성공단 확대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 경계심을 드러냈다.

이정은 기자 light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