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과 소통’ 특임장관 11년만에 부활

  • 입력 2009년 9월 4일 02시 56분


코멘트
자리 주인 바뀌겠네 3일 개각에서 특임장관으로 내정된 한나라당 주호영 의원(오른쪽)과 지식경제부 장관으로 내정된 최경환 의원(가운데)이 안상수 원내대표를 국회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노동부 장관으로 내정된 임태희 의원은 지방 출장 중이어서 참석하지 못했다. 김동주 기자
자리 주인 바뀌겠네 3일 개각에서 특임장관으로 내정된 한나라당 주호영 의원(오른쪽)과 지식경제부 장관으로 내정된 최경환 의원(가운데)이 안상수 원내대표를 국회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노동부 장관으로 내정된 임태희 의원은 지방 출장 중이어서 참석하지 못했다. 김동주 기자
■ 주호영 내정자 역할은
현역의원 ‘국회접촉’에 적임
대북업무 모종역할 가능성
불교계 인맥… 관계개선 도움

‘9·3 개각’의 특징 중 하나는 특임장관의 부활이다. 특임장관은 말 그대로 대통령이 부여한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는 장관이다. 1981년까지는 무임소장관, 1997년까지는 정무장관으로 불리다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과 함께 폐지됐다. 지난해 특임장관이라는 이름으로 10년 만에 다시 직제가 마련됐지만 공석으로 있었다.

역대 정무장관들은 대통령의 ‘복심(腹心)’으로 불린 정권실세가 많았고 그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슬롯머신 사건으로 구속된 박철언 전 장관(노태우 정부)처럼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이 때문에 현 정부도 특임장관직을 만들어 놓고 실제 임명에는 주저했던 측면이 있었다.

이번 특임장관 임명은 이명박 대통령의 필요와 여당의 요구의 일치에서 나온 산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이 집권 중반기 어젠다로 정치개혁을 내놓은 만큼 정치권과의 접촉면을 늘릴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여당도 4·29 재·보궐선거 이후 청와대의 소통 부족을 지적하며 정무장관 기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주호영 한나라당 의원이 특임장관으로 발탁된 것은 지난해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로 있으면서 대야(對野) 관계에서 능력을 인정받았고, 대선후보 비서실장, 대통령당선인 대변인을 지내면서 이 대통령의 신임을 얻은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 내정자의 최우선 과제는 이 대통령이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밝힌 선거제도 및 행정구역 개편을 위한 정치권 설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개혁은 국회의 협조가 절대적인 만큼 특임장관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주 내정자가 17대 총선 당시 조계종의 추천을 받은 인물로 불교계에 넓은 인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소원한 불교계와의 관계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자우(慈宇)’라는 법명이 있다.

일각에선 남북관계와 관련한 역할을 부여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도 있다. 최근 북한이 잇달아 대남 유화 무드를 조성하고 있는 만큼 특임장관이 모종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주 내정자도 3일 “(특임장관이) 남북관계 업무도 맡을 수 있다는 등 여러 얘기가 있는데 대통령의 지시가 있으면 어떤 업무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임장관이 임명되면서 청와대 정무기능에도 일정 정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8·31 청와대 개편’을 통해 박형준 정무수석-맹형규 정무특보 등 정무 라인을 구축했다. 이번에 주 내정자가 가세함에 따라 현역 의원인 주 내정자가 대국회 업무 등 현장을 담당하고, 박 수석은 정무기획 쪽을 맡으며, 맹 특보는 사회통합 업무를 관장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옥상옥(屋上屋)’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평소 ‘어떤 일도 다른 사람과 20% 정도 겹친다.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고 경합하며 일해야 한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이 말에는 과거와 달리 정무장관에 일방적으로 힘이 쏠리게 하지 않겠다는 뜻도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기정 기자 koh@donga.com


▲동아일보 김동주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