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정계비 받침돌 남한 학자들 처음 확인

  • 입력 2005년 8월 4일 03시 11분


코멘트
남한 학자들이 최근 처음 확인한 백두산 정계비의 받침돌(앞). 그 뒤에 보이는 하얀 표석은 정계비의 원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북한이 1980년대에 세운 것이다. 사진 제공 고구려연구재단
남한 학자들이 최근 처음 확인한 백두산 정계비의 받침돌(앞). 그 뒤에 보이는 하얀 표석은 정계비의 원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북한이 1980년대에 세운 것이다. 사진 제공 고구려연구재단
조선 숙종 때인 1712년에 세웠던 백두산 정계비(定界碑)의 받침돌과 원래 위치를 알려주는 표석이 확인됐다.

최근 북한의 고구려 유적을 조사하고 돌아온 고구려연구재단의 김정배(金貞培·한국사) 이사장은 3일 “백두산 정상에서 동남쪽으로 4km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백두산 정계비를 받쳤던 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백두산 정계비의 받침돌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남한 학자들이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이사장은 또 “받침돌 바로 옆에는 정계비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북한이 1980년대에 세운 표석이 있었다”면서 “그러나 북한 측은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인지 이 표석에 아무런 글씨도 새겨 넣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백두산 정계비는 18세기 초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국경에 대한 내용을 새겨 넣은 비석으로 비문의 일부인 ‘서쪽으로 압록강, 동쪽으로 토문강을 경계로 한다(西爲鴨綠 東爲土門)’와 관련해 ‘토문’의 실체가 두만강인지 토문강인지를 놓고 한국과 중국이 논쟁을 벌여 왔다. 이 정계비는 1931년 만주사변 당시 일제에 의해 철거됐는데 현재 어디에 있는지 확인되지 않고 다.

북한 학자들과 처음으로 고구려 유적을 공동 조사한 연구재단은 평양성 내성(內城)의 남쪽 벽에서 성의 축조 과정에 대한 내용이 새겨진 각석(刻石)을 확인하고 그 사진을 공개했다.

최광식(崔光植) 연구재단 상임이사 겸 고려대 교수는 “이번에 강서대묘 수산리고분 안악3호분 등 북한의 주요 고구려 고분에서 각종 벽화를 자세하게 조사 실측하고 촬영함으로써 벽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면서 “수산리고분과 안악3호분의 경우 벽화를 보존하기 위해 유리벽을 만들어 놓은 것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에 조사한 벽화는 그동안 국내에 모두 알려진 것이어서 특별히 새로운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광표 기자 kp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