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새 취재시스템 도입]"정보공개 입맛대로…알권리 침해"

  • 입력 2003년 3월 27일 18시 58분


코멘트
‘신 보도지침’ 논란을 일으켰던 새 정부의 취재대응 시스템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국정홍보처가 27일 중앙부처 공보관회의를 거쳐 발표한 ‘기자실 개선 및 정례브리핑제 도입안’ 중 개방형 기자실 설치 등은 새로운 언론 환경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하지만 이 안에는 국민의 알 권리와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보도를 ‘원천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조항들이 들어있다.

▼관련기사▼

- 美-日-佛에선 어떻게 하나
- 회의 공개하겠다더니 갑자기 "나가달라"
- 역사학자 300명 정부 정보공개 촉구 선언문

▽“보도 내용을 미리 파악하겠다”=조영동(趙永東) 국정홍보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언론은 각 부처 공보관을 통해 만날 날짜와 시간까지 정해 공무원을 접촉해야 한다”며 “가급적 사무실 출입을 삼가 달라”고 밝혔다. 조 처장은 “모든 것을 공개하자는 것”이라며 시행 배경을 설명했으나 언론학계 등에서는 이 조치로 언론 접촉 공무원의 신원 노출→정부 부처에 비판적인 보도 감소→국민의 알권리 침해→정부의 결정 및 정책에 대한 국민의 판단 자료 부족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 김우룡(金寓龍) 교수는 “이 조치로 인해 내부 고발자에 의한 비판 보도의 가능성은 현저히 줄어들 것”이라며 “특히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을 국민이 언론을 통해 감시할 수 있는 통로가 줄어든다”고 지적했다.

또 문화관광부에서 도입을 추진해 논란이 됐던 공무원의 취재 응대후 보고제를 이날 회의에서 전 부처로 확대하지 않았지만 접촉 사전 신고제 자체가 공무원들의 자유로운 발언을 제약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조 처장은 이날 “공무원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언론에 제대로 말할 수 있을 것으로 보나”라는 질문에 “좀 힘들 것”이라고 시인하기도 했다.

▽“국민은 하향평준화된 정보 접할 수도”=국정홍보처는 기자실 폐지에 따른 보완책으로 브리핑제를 도입했지만 이 조치로 정부가 알리고 싶은 것만을 선택적으로 언론을 통해 국민에게 공급할 우려도 있다.

단독보도를 위해 공무원들에게 사실 확인을 요청하더라도 공무원들이 확인을 기피하게 되면 결국 언론보도의 하향평준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문예진흥원은 최근 한 일간지 기자가 통일문학전집 발간 사실을 보도하기 위해 확인을 요청하자 “나중에 기자들을 불러 브리핑할 테니 그때 쓰라”며 취재에 불응한 적도 있다.

조 처장은 이날 “브리핑 전에 단독보도 등에 필요한 사실 확인을 공무원에게 요구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그건 공무원이 알아서 할 일”이라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이와 함께 언론의 취재 활동에 상응하는 수준의 브리핑제에 대한 보완책도 거의 없다. 국정홍보처는 이날 △브리핑지원협의회 구성 △부처별 행정정보공개 강화 방안 검토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정보공개 활성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얼마나 의지가 담겨 있는지는 의문이다.

이에 대해 조 처장은 “2001년부터 국회에 계류 중인 정보공개법(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조속히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정보공개법이 개정된다 하더라도 시간 싸움을 해야 하는 언론이 정보공개 요청 절차를 거쳐 필요한 정보를 입수해야 한다면 이는 사실상 취재의 자유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셈이다.

이승헌기자 ddr@donga.com

▼조영동 홍보처장 문답▼

조영동(趙永東·사진) 국정홍보처장은 27일 정부의 취재대응시스템 변경에 관한 중앙부처 공보관 회의 결과를 발표한 뒤 일문일답을 가졌다.

―기자들의 각 부처 사무실 방문 취재는 앞으로 어떻게 되는가.

“브리핑제를 실시하면 방문 취재는 원칙적으로 안 되는 것이므로 기자들이 자발적으로 삼갔으면 좋겠다.”

―방문 취재를 하지 말라는 것은 권고 사항인가, 강제 사항인가.

“예고 없는 방문 취재는 삼갔으면 한다. 그러나 장관이나 실·국장을 만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전에 공보관을 통해서 신청하면 대부분 이에 불응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그동안엔 전화 요청 없이도 아무 때나 실·국장을 만날 수 있었지만 브리핑제를 도입한 만큼 이를 지양해달라는 것이다.”

―취재에 응한 공무원이 그 내용을 상부에 보고해야 하는가.

“기자를 만난 공무원이 알아서 판단해야 할 문제이다. ‘이것은 중요한 사안이다’라고 판단하면 보고해야 하지 않겠는가.”

―공보관을 통해 취재신청을 하도록 하는 법적 근거는….

“법적인 근거는 없다. 관행이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도 관행 아니냐.”

―현재 청와대 브리핑도 만족스럽지 못한데 브리핑제가 잘될 것으로 보는지.

“앞으로 공보관의 자질은 지금과는 달라야 한다. 각 부처에서 능력 있고 뛰어난 사람들을 시켜야 할 것으로 본다. 공보관을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시켜 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하겠다.”

―정부의 편의대로 운용해온 엠바고(특정시점까지의 보도 제한 요청)제도는 어떻게 되는가.

“현재 기자단이 있는 곳에서도 엠바고가 깨지는데 브리핑룸을 만들면 잘 지켜지겠는가. 엠바고제도는 어렵다고 본다.”

―공무원들이 공보관이 입회한 자리에서 자유롭게 소신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나.

“처음에는 좀 어려울 것이다. 제도를 바꾸게 되면 정착될 때까지는 시행착오가 있을 것이다.”

―관공서측이 보도되길 원하는 자료만 공개함으로써 취재자유를 제약할 우려가 있는데….

“시행해보면 취재 자유를 보장하는 방향이 될 것이다. 정부와 기자, 모두에게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

한기흥기자 eligiu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