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앞에선 대화 뒤로는 도발…절대 속아선 안돼”

  • Array
  • 입력 2011년 1월 21일 19시 37분


코멘트

김신조 목사, ‘리멤버 1·21’ 행사 참석

21일 경기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민간인통제구역 내 ‘1·21 침투로 안보견학장’을 찾은 전 북한간첩 김신조 씨(70·목사)가 육군 25사단 장병들에게 43년 전인 1968년 1월 비무장지대(DMZ)를 통과해 남한에 침투한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연천=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21일 경기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민간인통제구역 내 ‘1·21 침투로 안보견학장’을 찾은 전 북한간첩 김신조 씨(70·목사)가 육군 25사단 장병들에게 43년 전인 1968년 1월 비무장지대(DMZ)를 통과해 남한에 침투한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연천=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그날도 이렇게 춥고 눈이 쌓여있었습니다." 21일 오후 경기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민간인통제구역 안 '1·21 침투로 안보견학장'을 찾은 김신조 씨(70·목사)의 목소리는 상기돼 있었다. 43년 전 "박정희의 목을 따기 위해"라는 말을 하며 북에서 걸어 내려왔던 바로 그 길이기 때문이다. 김 씨는 이날 '1·21 청와대 습격사건'을 되새기기 위해 열린 '리멤버(Remember) 1·21' 행사에 육군 제25보병사단의 초청을 받아 참석했다.

그는 신동만 사단장 등 부대원 100여명과 함께 당시 철책이 그대로 보존된 안보견학장을 찾았다. 군사분계선에서 2.5㎞ 떨어진 곳이다. 김 씨는 감회가 깊은 듯 녹슨 쇠기둥과 철조망을 말없이 쓰다듬었다. 그는 "내가 (1·21 사건의) 증인이라면 나에 대한 증인은 바로 이 철책"이라며 "구멍 뚫린 철책이야말로 역사의 증인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만약 그 때 작전이 성공했다면 여기 있는 여러분들도 모두 지금의 북한체제에서 살고 있을 것"이라며 "파주에서 나무꾼 형제를 만나 작전은 실패했지만 나는 자유를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음 장소인 파주시 적성면 장좌리 군 교통호를 찾은 그는 '침투지점'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비석 앞에서 눈 덮인 임진강을 가리켰다. 김 씨는 "바로 저 강 너머 갈대밭에서 하룻밤을 잤다"며 "워낙 힘든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영하 20도의 날씨도 전혀 개의치 않았다"고 말했다. 혹독한 훈련과정과 완벽에 가까운 침투과정을 설명하며 그는 북한 실체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주문했다. 김 씨는 "북한은 앞으로는 대화를 하자고 하면서 뒤에서는 도발을 일삼는 집단"이라며 "그들의 전술에 절대 속아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장병들은 엊그제 일처럼 생생한 김 씨의 증언을 놓치지 않기 위해 귀를 기울였다. 지난해 9월에 입대한 김동준 이병(23)은 "책이나 영화에서만 봤던 이야기를 현장에서 확인하니까 (당시 사건이) 실감나게 다가온다"며 "앞으로 적 침투 경계근무에 한치의 소홀함도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체험은 파주시 파평면 파평산 자락에서 끝났다. 당시 김 씨 일행이 민간인의 눈을 피해 산길을 따라 서울로 잠입했던 시작 지점이다. 그는 "그동안 군 관계자들과 비공식적으로 침투로를 온 적은 있지만 이렇게 젊은 장병들과 함께 온 것은 처음"이라며 "앞으로 매년 참석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체험을 준비한 신 사단장은 "적은 한겨울과 같은 악조건을 이용해 침투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느꼈다"며 "어떤 기습도발도 즉각 응징해 승리할 수 있는 완벽한 군사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1968년 발생한 1·21 사건은 김 씨 등 무장공비 31명이 휴전선을 넘어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의 세검정고개까지 침투했던 사건으로 29명이 사살되고, 1명은 북으로 도주했다. 김 씨만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우리 군인 및 민간인 7명도 희생됐다.

양주=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