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증 정신질환 ‘관리·재활’이 핵심인데, 퇴원 후엔 ‘치료 절벽’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1월 28일 00시 00분


서른일곱에 낳은 늦둥이 딸은 엄마에게 희망의 원천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딸이 고3 무렵 조현병을 앓기 시작한 이후 모녀는 깜깜한 우물에 갇힌 듯한 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입원하면 좋아졌다 퇴원하면 나빠지는 쳇바퀴 돌기가 20년이 넘었다. 병원을 나서는 순간 치료받을 곳도 사회 복귀를 도와주는 곳도 찾기 어려운 ‘치료 절벽’과 마주해야 한다. 환자 돌봄을 떠안은 엄마는 “살아도 사는 것 같지 않고, 죽으려야 죽을 수도 없다”고 했다.

이처럼 사회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중증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2021년 기준 65만 명으로 3년 전보다 8.6% 증가했다. 정신질환은 발병 초기부터 꾸준히 약을 먹고 재활 치료를 하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동아일보 취재팀이 중증 정신질환자 20명을 인터뷰한 결과 16명이 치료를 중단한 적이 있다고 했다. “더 이상 약 먹을 필요가 없다”고 착각하거나 “정신질환자라는 사실을 인정하기 싫어서”라고 한다. “이제 약 끊어도 되지 않느냐”는 가족의 말을 들었다가 재발한 경우도 있다. 중증 정신질환은 악화하면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폐해가 큰데도 전문지식이 부족한 환자와 가족에게 떠맡겨져 병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정신질환 치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2020년부터 퇴원 환자를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복약 여부 등을 관리하는 시범사업과 낮에 재활 치료를 받고 저녁에 귀가하는 ‘낮 병동’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낮 병동에서는 사회적응 훈련과 취업교육도 받는다. 그러나 두 가지 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은 37곳과 64곳에 불과하다. 정부가 책정한 의료수가로는 인건비도 대기 어렵다고 한다. 퇴원 환자들을 위한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있지만 직원 1명이 환자 27명을 맡아야 해 제대로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동아일보 취재팀이 만난 중증 정신질환자 중에는 조울증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다 병세가 호전돼 일상에 복귀한 사례도 있다. 재활센터에 다니면서 꾸준히 약을 먹고 관리한 덕분이다.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은 청소년 나이대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젊은 시절 얻은 병으로 평생을 자신과 남을 해칠까 하는 편견과 자기혐오에 갇혀 살지 않도록 정부가 치료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법원이 얼마 전 정신질환자가 저지른 진주 방화 살인 범죄 피해자 유족에게 국가의 진단·보호 조치 의무 위반을 인정해 손해배상을 선고한 판결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중증 정신질환#관리#재활#치료 절벽
  • 좋아요
    5
  • 슬퍼요
    12
  • 화나요
    1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3-11-28 01:18:38

    기사 내용대로 라면, 정신과 치료는 장시간이 요구되는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 분명한데.... 병원 치료가 완전히 끝나지도 않은 상태의 환자를 국가 치료 기간을 이유로 사회로 내 보내면 이건 마치 안전핀이 제거된 수류탄을 광화문 네 거리에 던지는 꼴 아닌가? 새만금 이니 태양열 전지 니 그런곳에 들어 갈 재정을 조금 줄여서 라도 국민 건강 부터 지키는 것이 어떨까 싶다.

  • 2023-11-28 14:52:34

    직업도 알선해주고 이혼과정에서도 나중에 정신 차릴때까지 재산과 관련된 사인을 못하게 했단다. 그동안 한달에 한번씩 상담을 계속하고 꽤나 지난 지금도 약을 먹고 잘사고 있고 고국에 친구들 만나라 나오기도 한다. 한국 같으면 어때을까? 필수의료에 집어넣고 환자 상담도 의사둘명 이상으로 하고 상담의와 가족과의 소통을 상시 하여야 한다. 애기들어보니까 개판 5분전이더라. 약값도 의료 보험이안되고 환자 본인의 의사대로 인권이랍시고 보호한다고 환자 비밀을 가족과 공유하지 않고 애가 닳는건 가족이다. 대리약을 받으로 가도 본인 안오면 안준단

  • 2023-11-28 14:44:43

    명문대 나온 절친이 온 가족과 함께 외국으로 이주했다 부모가 먼저 자리잡고 직장다니는 그친구 가족을 불러들인 것이다. 사단은 몇년후에 그친구가 아들을 죽인것이다. 본인은 자기 의식과 육체가 따로 노는 통제 할수 없는 경험이었다고 말한다. 부인도 죽이려고 했다 .조사결과 정신병으로 판정을 받아 정신병동에서 7년을 있었다고 말했다 그친구가 책임감도 강하고 의협심도 남달라고 친구들의 청을 잘 들어주었던 친구였다. 나중에 그소식을 듣고 도저히 이해 할 수 없었다. 한국같으면 폐인이 됐을거라고 한다. 병원에서 나오니 우체국 파트 타임으로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