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 이후 세계 각국은 저금리 정책을 통해 경쟁적으로 돈을 풀어 왔다. 넘치는 유동성이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 가치를 끌어올렸다. 저금리로 빚을 내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한국 가계부채는 사상 최고인 1726조 원에 이른다. 하지만 금리가 오르면 추가로 빚을 내기 어렵고 이자 부담만 커진다.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가 부담해야 할 이자만 6조 원 늘어난다고 한다.
금리 상승은 자산가치의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실제 지난주 미국 금리가 1.5%를 돌파하자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급락했다. 그런데도 국내에서 빚을 내 투자하는 ‘빚투’는 줄지 않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주택담보대출은 20조 원 늘었고, 신용대출은 24조 원 이상 증가했다.
금리 상승이 반드시 경제적 악재인 것은 아니다. 경기 회복의 신호로 해석될 수도 있다. 문제는 실물경기가 아직 코로나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는데, 금리만 빠르게 오르는 데 있다. 자칫 ‘돈잔치’가 끝나고 ‘빚잔치’를 해야 할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투자는 자기 책임이란 점을 명심하고 금리가 오를 경우에 대비한 자금 계획을 세워야 한다. 정부도 금리 상승을 초래할 과도한 적자 국채 발행을 자제해야 한다.
[송평인 칼럼]가짜 진보 몰아낼 3년의 시작일 뿐인데…
윤희숙 “백신 장담하고 사라진 정세균…국민이 얼마나 만만하면”
왜 정부는 전체 국민 백신접종률을 발표하지 않을까[이진구기자의 대화, 그 후- ‘못다한 이야기’]
이준석 “내가 차마 말 못했는데 김종인 ‘주호영, 安과 작당’ 정확했다”
이성윤 기소 ‘키’ 쥔 조남관 총장 권한대행의 최종 결정은?
초선 김웅, 국민의힘 당대표 여론조사 ‘깜짝 2위’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