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8개월만에 세 번째 금감원장, 감독기관 신뢰부터 회복하라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5월 5일 00시 00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를 금융감독원장에 임명했다. 9월 임명돼 채용비리 연루 의혹으로 물러난 최흥식 원장과 ‘셀프 기부’가 위법으로 드러나 사퇴한 김기식 원장에 이은 이 정부 세 번째 금감원장이다. 두 전 원장이 모두 민간 출신이었음에도 문 대통령이 다시 교수 출신 윤 원장에게 ‘금융 검찰’의 수장 자리를 맡긴 것은 관료 출신으로는 과감한 금융개혁이 어렵다고 봤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윤 원장이 과거에 보여준 진보 성향에 대해서 금융계 일각의 우려가 있다. 윤 원장은 금융위원회 자문기구인 금융행정혁신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지난해 말 금융 공공기관에 노동이사제를 도입하고 민간 금융지주회사에도 근로자추천이사제 도입을 검토하라고 권고했다. 당시 금융위는 “큰 틀에서 노사 합의가 이뤄져야 할 문제”라며 권고를 거부했지만 윤 원장이 금감원장이 되면서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는 문제가 됐다.

노동이사제는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인다는 주장과 회사나 주주의 이익보다 노조의 이익에 초점을 맞춘 경영 판단이 나올 수 있다는 주장이 맞서 논란이 되는 제도다. 적대적 성향의 노사관계가 많은 우리 실정에 맞지 않아 성급하게 밀어붙일 만한 사안은 아니다. 윤 원장은 지난해 한 인터뷰에서 “우리나라 자본시장이 발달하지 못한 것은 재벌 때문”이라고 말했다. 금융·경제당국이 앞다퉈 대기업 때리기에 나서는 요즘 분위기에 윤 원장의 이런 소신이 기름을 끼얹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감사원 감사에서 채용비리와 직원들의 금융상품 매매 규정 위반 사실이 드러나 금융감독 당국으로서의 위상을 스스로 실추시킨 바 있다. 최근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여부에 대해 ‘문제없다’던 입장을 뒤집기도 했다. 이 바람에 이 회사 주가는 사흘 동안 25% 넘게 떨어졌다. 투자자야 어찌 됐건 ‘코드’만 맞추겠다는 결정으로 한국 금융시장의 신인도까지 끌어내렸다. 금감원 감리 결과는 증권선물위원회 등을 거쳐 확정하는 것이 절차인데도 섣부른 발표로 혼란을 야기했다. 금융 감독체계 개혁을 주장해온 신임 윤 원장이 개혁보다 앞서 해야 할 일은 감독기관의 신뢰부터 회복하는 것이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노동이사제#근로자추천이사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