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홍수용]모피아의 마지막 숙제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6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홍수용 경제부 기자
홍수용 경제부 기자
2005년 2월 25일 밤 이헌재 당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경기 하남시 산업은행 연수원에서 폭탄주 네댓 잔을 연거푸 들이켰다. 기자단과 세미나를 마치고 뒤풀이를 하는 자리였다. 농담도 평소보다 많이 하는 등 기분이 좋아 보였다. 속으로는 마음이 편치 않을 터였다. 그는 이 자리에 앉기 불과 몇 시간 전 공보관으로부터 “동아일보가 부총리의 부동산 투기 의혹에 해명을 요청해 왔다”는 보고를 받았다. 그런데도 그의 표정에서는 일말의 불안감이나 초조감을 읽을 수 없었다.

이날 이 전 부총리가 보여준 모습은 전형적인 ‘모피아’(옛 재무부 영문 약칭인 ‘MOF’와 이탈리아 범죄조직인 마피아를 합친 조어)의 모습이었다. 우리가 대한민국의 최고 엘리트라는 자부심, 강한 정서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는 끈끈함은 비단 이 전 부총리뿐 아니라 핵심 모피아들의 공통분모다.

최근 재무 관료 출신인 임영록 KB금융 사장과 임종룡 전 국무총리실장 등이 민간 금융사의 수장으로 선임되면서 모피아가 다시 뉴스의 중심에 섰다. 정권 출범 초기에는 옛 경제기획원 라인이 뜨고 모피아가 몰락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더니 판세가 완전히 뒤집어졌다는 ‘관전평’도 나온다. “역시 모피아”라는 감탄도 여기저기서 들린다.

사실 모피아의 끈끈함은 예전 같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는 모피아 피라미드의 맨 꼭대기에 있는 이 전 부총리가 초래한 측면이 있다. 그의 회고록에 나오는 내용이 너무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각색돼 있다는 지적이 후배 모피아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한 관료는 “이 전 부총리의 시각에서 쓴 ‘승자의 역사’이지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과거 모피아 전성시대라면 보기 힘든 균열이다.

혹시라도 이번 금융권 인사를 계기로 제2의 모피아 전성시대를 열어 보자는 움직임이 싹터서는 안 된다. 많은 국민이 모피아의 금융계 노른자위 독식에 문제가 많다고 보면서도 퇴진 요구로까지 강도를 높이지 않는 이유는 그들이 뭔가 중요한 숙제를 할 것이라는 일말의 기대감 때문이다.

우리금융 민영화와 같은 ‘작은 감자’가 그 숙제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이 문제는 사는 쪽과 파는 쪽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 성사되고 그렇지 않으면 무산되는 시장의 문제이지 의지로 풀어내는 숙제가 아니다.

금융지주 계열사 사장에 부행장을 낙하산으로 내려보내지 못하도록 인사 관행을 개혁하거나, 중소기업 대출 때 절차만 잘 지켰다면 사후 부실에 책임을 묻지 않도록 금융 관행을 혁신하는 등의 과제는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숙제다. 저항세력도 많아 아직 힘이 남아 있는 모피아가 아니면 풀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한국의 금융사에서 모피아는 공적도 많지만, 산업화가 이룩된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금융 발전을 가로막는 장벽이었다. 마지막 남은 숙제를 잘해서, 금융 산업의 더 큰 해악을 해결하는 데 필요했던 작은 해악이었다는 정도의 평가라도 얻는 것이 모피아에 남은 명예다.

홍수용 경제부 기자 legman@donga.com
#이헌재#부총리#모피아#금융권 인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