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보안 軍紀’ 빠진 군대 위아래 똑같은가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8월 6일 03시 00분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익숙한 신세대 군(軍) 장병들의 정보보안에 경고등이 켜졌다. 전방에 근무하는 한 장교는 페이스북에 소속 부대의 2주짜리 종합전술훈련 시작 사실을 알리며 부대 마크가 보이는 기념사진을 올렸다. 어둠 속에 출동을 앞둔 군용 장갑차 식별번호가 훤히 드러난 사진도 있었다. 부대에 하달된 은밀한 지시사항이 스마트폰에 찍혀 인터넷에 실시간 전달되기도 한다. 신분 보안이 생명인 국군기무사령부 요원이 스스로 신분을 공개한 사례도 있다.

북한에서도 훤히 들여다볼 수 있는 인터넷 공간에 부대의 활동상황 등 군 기밀을 공개해 놓고서도 정작 본인이 뭘 잘못했는지 모르는 보안 불감증이 심각하다. 군 당국은 전군을 대상으로 SNS 이용 실태를 철저히 조사해 군사기밀 유출 행위를 막는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올해 1월 초부터 시행한 ‘군 장병 SNS 활용 가이드라인’이 왜 철저히 지켜지지 않는지 원인을 규명하고 책임 소재를 엄격히 따져야 한다. 일각에서는 현역 병사도 개인용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군이 적의 침략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특수집단임을 망각한 견해다. 모병제(募兵制)를 도입하고 있는 미국도 보안시스템이 갖춰진 군용 스마트폰 사용을 늘리면서도 개인 스마트폰 사용은 철저히 제한하고 있다.

합참의장은 물론이고 각 군의 참모총장, 지휘관, 사병에 이르기까지 군의 구성원 각자가 철통같은 보안의식을 갖고 군 기밀을 지켜내지 못한다면 적에게 빈틈을 허용할 수밖에 없다. 적화통일 야욕을 포기하지 않고 있는 북한은 최고의 컴퓨터 영재 3000여 명을 사이버 전사로 키울 정도로 정보전을 강화하면서 우리 군의 중요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곳곳에 촉수(觸手)를 뻗치고 있다. 스마트폰과 SNS를 이용해 군 정보를 유출하는 행위는 북한에 ‘남침로’를 활짝 열어주는 이적행위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35도를 오르내리는 불볕더위 속에서 마음 편히 군화도 벗지 못한 채 국방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 65만 국군 장병의 노고를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생명과도 같은 군의 보안을 소홀히 하는 행태는 적에게 빗장을 열어주는 것과 같다. 군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보안 군기(軍紀)의 강화가 요구된다.
#스마트폰#SNS#군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