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이기홍]괴담생산공장 종사자들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1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이기홍 국제부장
이기홍 국제부장
한미 FTA를 둘러싸고 괴담이 난무한다. 국제뉴스 에디터로서 프랑스 일본 중국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기획을 지시했다(본보 12일자 A8면 참조). 제3국 전문가니까 객관적 의견 제시가 가능하리라 싶어서다. 특파원들이 인터뷰한 전문가들은 ISD 논란을 비롯해 한국 내 괴담들에 대해 어이없어했다. 그런데 그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기사를 출고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무의미한 일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괴담의 진위가 밝혀진다 해도 아수라판은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반대론자들이 원하는 것은 괴담을 영양분 삼아 암세포처럼 자라나고 담금질되는, 보수정권과 미국에 대한 반대감정 그 자체 아닐까. 진위가 밝혀져 약발이 떨어지면 그들은 또 다른 괴담을 퍼뜨릴 것이다.

온라인과 SNS를 통해 루머가 유포되는 건 선진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선진국엔 이를 검증하는 시스템이 발달돼 있다. 미국 의회는 어떤 논란이 생기면 즉시 청문회를 연다. 거의 매일 여러 건의 청문회가 열린다. 버젓이 거짓말을 하던 자도 청문회에 서면 진실을 말한다. 사소한 거짓말이라도 처벌이 엄혹하기 때문이다.

부시 정권 시절 실세였던 스쿠터 리비 부통령비서실장이 징역 30개월, 벌금 25만 달러의 중형을 받은 것은 이라크 대량살상무기와 관련해 CIA 요원의 신분을 누설했다는 사건의 핵심 때문이 아니라, 그 정보를 체니 부통령에게서 들어놓고 기자들로부터 들었다고 거짓 증언한 때문이다. 영국 법원은 8월 페이스북에 폭동을 선동하는 글을 올린 청년 2명에게 징역 4년을 선고했다. 악의를 품은 말의 폐해를 얼마나 심각하게 여기는지를 보여준다.

우리 사회의 괴담생산 시스템에서 주목되는 또 하나의 집단은 일부 언론과 인터넷 논객들이다. 그들은 괴담 자체를 지면이나 전파에서 직접 주장하지는 않지만 괴담을 사실로 믿고 싶은 이들에게 심정적 확신을 심어줄 온갖 자양분과 배경그림을 제공한다. 무수한 별들을 마음대로 이어서 별자리를 만들 듯 단편적 팩트들을 이리저리 모자이크한다.

그러면서도 객관성을 외면한 데 가책을 느끼는 기색은 없다. 지면 전파 인터넷을 ‘역사의 진보에 기여할 자신의 이념과 가치관’을 전파하기 위한 배타적 권리로 여기기 때문이다. 대학시절 어설프게 접했을 참여-순수 논쟁의 영향 탓이리라.

“이명박에 대한 적개심이 하늘을 찌를 때” 운운한 광우병 PD수첩 작가는 방송전파를 자신의 정치관을 전도할 도구로 여긴 ‘선무당 언론’의 한 사례다. “젖소가 도축됐다”를 “이런(광우병 걸린) 소가 도축됐다”로 슬쩍 바꾸고, 조금 후엔 “아까 그 광우병 걸린 소들”이라고 단정짓는 PD수첩의 수법보다 더 놀라운 것은 그런 행동에 대해 죄의식을 느끼지 않도록 그들의 마음을 단련시켜준 ‘정치적 사명감의 힘’이다. 언론노조가 ‘나꼼수’를 민주언론상 수상자로 결정했다는 소식도 객관성, 팩트의 신성함보다는 ‘목적에의 기여’를 우선시하는 시각이 만연함을 보여준다.

괴담이 재생산되는 토양을 개선하려면 국회가 상시적으로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 진위 논쟁이 붙는 이슈가 터지면 상임위원장들이 저마다 손쉽게 청문회를 소집해서 당사자들을 진실의 마이크 앞에 서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청문회에서 사소한 거짓말이라도 하면 바로 감옥행이라는 전통을 쌓아가야 한다. 그래야 광우병 천안함 FTA 등 재료만 바꿔가며 가동되는 괴담생산공장의 브레이크 없는 질주를 조금은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이기홍 국제부장 sechep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