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영 칼럼]인문학을 초라하게 하는 것들

  • Array
  • 입력 2010년 6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몇 년 전 대학 정년으로 연구실을 비우면서 얼마간의 책을 대학 도서관에 기증했다. 도서관에서 그중 한 박스를 반송했다. 규정상 받을 수 없다고 했다. 지난날 외국의 도서관을 찾아다니며 만든 복제본이었다. 지질과 제본 상태가 온전치 못해 본래부터 볼품이 없던 책이 퇴짜를 맞아 돌아왔으니 몰골이 초라했다.

내게는 한때 어느 값비싼 책보다 더 힘들게 손에 넣은 귀중품이었다. 가난한 유학생 시절, 이른 아침부터 파리 국립도서관 앞에서 줄을 섰다가 간신히 책을 빌려 또 창구 앞에 줄을 서서 페이지마다 1장씩에 해당하는 쿠폰을 구입하고, 또다시 귀한 복사기 앞에 줄을 서서, 책이 상한다 하여 한 번에 두 페이지가 아닌 한 페이지씩만을 복사하여 만든 책도 있다. 어렵사리 페이지가 한데 모여 한 권의 책이 됐을 때 부자나 된 듯 얼마나 뿌듯해했던가.

그 시절에 비하면 지금은 환경이 여간 좋아진 것이 아니다. 도서관 앞에서 줄을 서지 않는다. 먼지 앉은 목록실에서 카드함을 열어 놓고 한없이 도서카드를 뒤지지 않아도 된다. 인터넷의 바다로 들어가 세상 어떤 도서관이건 찾아들어가 책명, 저자명, 주제와 관련된 키 워드 하나면 무슨 책이든 찾아낼 수 있고 운이 좋으면 앉은 자리에서 원문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외국의 도서관이 간단한 인터넷 신청절차를 거쳐 빠른 속도로 책을 부쳐주기도 한다.

전에는 어쩌다가 도서관에 도서 구입을 신청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뒤 예산 부족으로, 아니면 절판되었기에…운운의 이유로 도서 구입이 불가능하다는 통지가 오곤 했다. 그걸 알기에 교수들은 도서관을 믿지 않았고 자신이 책을 구입하여 연구실에 혼자 두고 보았다. 연구자도 서로 책에 관한 한 여간 인색하지 않았다.

책은 넘쳐도 지혜는 굶주린 시대

그런데 외국의 교수 연구실에 찾아가 보면 연구실에 책이 거의 없다. 책장에는 최소한의 서적과 교재가 전부다. 모든 책이 도서관에 있으니 지금 보는 최소한의 책 이외에는 필요가 없다고 한다. 지금의 우리 대학 도서관은 그 ‘외국’과 다름이 없다. 책을 신청하면 국내 국외를 가리지 않고 즉시 다 구입해 준다.

사정이 이러하면 이제 이 나라에는 위대한 학자, 연구자가 가득 차 있을 법하다. 그럴지도 모른다. 주변에 만나는 사람 치고 석사나 박사가 아닌 사람이 드물고 저서 한두 권쯤 쓰지 않은 사람이 드물다. 같은 분야에도 유사학회가 무수히 번식하고 학회마다 공식 인정받는 학회지를 두툼하게 발행한다. 연구논문은 하나같이 무슨 기관의 연구지원을 받아서 작성했다고 표시돼 있다. 처음 들어보는 대학교 대학원이 날로 많아지고 석좌교수 연구교수 특임교수 계약교수 등 명칭과 종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은 교수가 교육과 연구에 매진한다.

그런데 정작 대학의 인문학 교실에서는 위기라는 말이 들려온다. 여러 언론에서 인문학의 재건을 말하는 것은 위기의 반증이다. 인문학의 위기는 사실 모두가 아는 일이다. 신문이 주 1회씩 발간하는, 그러나 날로 초라해져가는 책 섹션을 보면 인문이 얼마나 소외됐는지 알 수 있다. 돈과 정치와 처세술에 대한 베스트셀러 그늘 저쪽으로 밀려난 인문학 서적의 초라한 처지는 도서관에서 반납된 내 복사본을 많이 닮았다.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입에 발린, 무한 경쟁이라는 구호는 느리고 반성적이어서 결과물이 화끈하지 못한 인문학을 그늘로 내몬다. 사고의 깊이와 감성적 예지를 기르라고 논술시험을 만들어놓으니 학원이 답안 작성하는 요령을 가르치며 돈을 번다.

경영마인드를 도입한다는 대학의 관리자들은 누가, 무엇을 위하여, 어떤 기준에 따라 판단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세계 대학랭킹 순위에 시선을 박고 논문 편수를 헤아리면서 연구비를 따오라고 닦달한다. 어마어마한 권력을 행사하는 기업가는 대학이 기업에 필요한 교육을 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대학의 재단은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하는 학문’은 통폐합하겠다고 협박한다. 연구재단의 책임자는 충분한 연구비를 제공할 터이니 쓸모 있는 주제의 연구계획서를 제출하고 기간에 맞추어 결과물을 제출하라고 돈주머니를 열어 보인다.

‘호기심의 갈증을 허락하소서’

모두가 스스로의 할 일에 충실한 것은 분명하다. 다만 이 와중에서 정작 인문학은 그 원동력인, 인간에 대한 진정한 호기심이 실종되고 말았다. 인문학이 가장 먼저 필요로 하는 점은 학점도 연구비도 학위도 자격증도 아닌 인간적 삶에 대한 의문과 갈증이다. 바슐라르는 매일같이 지혜의 신에게 ‘저희에게 일용할 굶주림을 주시옵고’라고 기도하면서 천국은 책이 가득한 도서관을 닮았으리라고 상상했다. 이제 우리 인문학이 되찾아야 할 것은 연구비가 아니라 그 갈증이다. 그 갈증이 인문학의 샘을 파는 것이다.

김화영 문학평론가·고려대 명예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