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新중동特需 일자리로 연결시켜야

  • 동아일보
  • 입력 2009년 12월 29일 03시 00분


우리가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총 400억 달러(약 47조 원) 규모의 원자력발전소 사업을 따냄으로써 앞으로 펼쳐질 세계 원전사업 수주경쟁에서 힘이 더 붙게 됐다. 터키가 내년 상반기에 발주할 총 200억 달러 규모의 원전 사업도 우리가 수주할 가능성이 높다니 크게 기대된다. 정부는 이 밖에도 인도 요르단 알제리 카자흐스탄 태국 베트남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 등 원전 수요가 예상되는 나라에 수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란도 현재 미국의 규제를 받고 있지만 전기가 부족해 언젠가는 원전을 건설할 계획이어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세계 각국이 2030년까지 신설할 원전은 430기로 추산된다. 한 기당 작게는 수조 원, 크게는 수십조 원 규모로 총 1200조 원 이상의 시장이 열린다. 한국 외에 원전 수출국은 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캐나다뿐이다. ‘원전 6강’으로 세계 시장에 새로 진출한 우리는 가격 품질 안전성 공기(工期) 유지보수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아 수주 성공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원전 수주 경쟁에서는 국제정치의 역학관계도 작용하지만 한국이 원전 수요국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번처럼 경쟁국들을 제칠 수 있다.

UAE 원전 사업이 창출하는 고용효과는 1970, 80년대 ‘1차 중동 붐’ 때보다는 적을 것이다. 원전 공사는 고속도로나 항만공사처럼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고 우리가 도맡을 수도 없다. 그러나 10년간 UAE 파견인력은 연인원으로 적게는 4000명, 많을 경우 수만 명이 되고 국내에 새로 생겨날 일자리는 적게 잡아 10만6000개를 헤아릴 것으로 추산된다.

국내 원자력 관련 고급인력은 5000명 정도에 불과해 서둘러 양성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달리 플랜트는 물론이고 금융 정보통신기술(ICT) 녹색산업도 경쟁력이 있어 원전과 동반진출이 가능하다. 이런 간접고용 인원을 대폭 늘려야 한다. 결국 원전 수출에서 얻을 수 있는 고용효과는 우리가 하기에 달렸다.

지난 10여 년간 중동지역 건설수주가 늘어날 때마다 ‘제2의 중동 붐’이라며 반겼지만 이번엔 훨씬 메가톤급이다. 원전 수출이 가져올 신(新)중동특수를 잘 관리하면 국내 일자리 부족을 보완할 수 있다. 정부는 내년 2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전망하지만 민간경제연구소는 10만∼16만 개로 낮춰 잡고 있다. 일자리 하나가 절실하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