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朴을 어찌할꼬’…잇단 광역단체장 구설에 속 끓이는 與

  • 뉴스1
  • 입력 2018년 11월 20일 16시 33분


코멘트

이재명·박원순 논란에 지지층 내분 조짐도
다른 광역단체장들도 구설…지지율도 하락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2018 국회 철도정책세미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2018.11.20/뉴스1 © News1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2018 국회 철도정책세미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2018.11.20/뉴스1 © News1

더불어민주당이 자당 소속 광역단체장들의 잇단 구설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총 17곳 중 14석을 차지하는 대승을 거둔지 5개월만이다.

민주당의 현재 가장 큰 고민거리는 이재명 경기지사다. 경찰이 지난 17일 ‘혜경궁 김씨’로 불린 트위터 계정의 소유주를 이 지사의 부인 김혜경씨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이 지사는 그러나 “(경찰이) 진실보다는 권력을 선택했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저열한 정치공세의 목표는 이재명으로 하여금 일을 못하게 하는 것”이라고 되려 경찰을 정면 겨냥했다.

이 지사가 말한 ‘권력’의 주어가 누군지를 두고 논란이 빚어진 가운데 이 지사를 공천한 당사자인 이해찬 대표가 입을 다물고 있다. 당내에선 지지층 내분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몇몇 의원들은 자신의 SNS를 통해 “당 차원의 적극대응”을 주문한데 이어, 일부 지지자들은 이 지사의 출당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이 지사 측 지지자들은 ‘혜경궁 김씨’가 김씨가 아니라는 증거들을 인터넷에 공유하며 이 지사를 적극 엄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이 지사를 두고 당 안팎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당 지도부는 “상황을 좀 더 지켜보겠다”며 당장 당 차원의 조치는 하지 않을 뜻을 내비쳤다.

여권의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 중 한 명인 박원순 서울시장도 최근 논란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이날 한국노총은 노조법 전면재개정, 최저임금제 개악 및 탄력 근로제 확대 저지, 비정규직의 온전한 정규직화 등을 촉구했다. 2018.11.17/뉴스1 © News1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이날 한국노총은 노조법 전면재개정, 최저임금제 개악 및 탄력 근로제 확대 저지, 비정규직의 온전한 정규직화 등을 촉구했다. 2018.11.17/뉴스1 © News1
당이 최근 탄력근로제 확대를 놓고 노동계와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박 시장이 지난 17일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 참석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박 시장이 차기 대선을 위해 당정의 노동정책과 각을 세우면서, 벌써부터 노동계의지지 확보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박 시장이 당정과 엇박자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박 시장은 국토교통부와 논의 없이 서울 용산과 여의도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야권에서조차 “박 시장의 자기정치가 요즘 도를 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수도권 밖 사정도 좋지는 않은 모습이다. 사상 첫 민주당 출신 부산시장인 오거돈 시장은 부산시 관계기관 산하 용역업체 직원들과의 간담회 및 회식 자리에서 오 시장의 양옆과 맞은편에만 여성 직원이 배석한 사진이 공개되며 논란을 일으켰다.

결국 오 시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다시는 이러한 불편함으로 상처받는 시민들이 없도록 저 스스로와 시 전체를 살피고 살피겠다”며 사과문을 올렸다.

여기에 김경수 경남지사도 ‘드루킹 사건’ 재판 출석을 위해 서울과 창원을 오가고 있는 상황이고, 이용섭 광주시장 또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두고 노동계와 갈등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들의 지지율은 지방선거 이후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9일 발표한 10월 월간정례 전국 광역자치단체 평가조사에서 박원순 시장에 대한 긍정평가는 6월 지방선거 득표율(52.8%)보다 0.9%포인트 떨어진 51.9%를 기록했다.

56.4%의 득표율로 당선된 이재명 지사에 대한 긍정평가는 45.8%에 그쳤으며, 오거돈 시장에 대한 긍정평가 또한 지선 당시 득표율 55.2%보다 10%포인트 이상 떨어진 39.0%에 머물렀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 5.2%.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여기에 한때 50%를 넘어섰던 당 지지율 또한 40%대 초반까지 떨어지면서, 1년 반 남짓 남은 차기 총선을 앞두고 장기적인 지지율 보완책을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우려가 당 안팎에서는 제기되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