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참모들에 ‘지역구 특혜분양’ 논란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7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與, 지역위원장 직무대행 유지 가닥… 이용선 정태호 한병도 등 11명
출신 지역서 차기총선 출마 가능… 비주류 “靑경력 이어 공천 유리”
부엉이모임 이어 ‘친문 패권’ 논란

더불어민주당이 청와대 참모들이 이전에 갖고 있던 당 지역위원장 지위를 사실상 유지할 수 있도록 직무대행 체제를 현행처럼 인정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청와대에서 일하는 기간 대리인을 통해 지역위를 관리한 뒤 나중에 해당 지역위에서 총선에 출마할 수 있도록 배려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엉이 모임’으로 친문(친문재인) 패권주의 논란이 다시 불거진 상황에서, 친문 그룹이 대부분인 청와대 참모들에게 2020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지역위를 사실상 ‘특혜 분양’하는 셈이라서 당내 계파 갈등의 또 다른 진앙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8일 “당 지도부가 청와대 참모들의 지역위원회 직무대행 체제를 계속 인정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내각에 들어가 있는 장관이 지역위원장인 경우에도 직무대행 체제를 인정할 것”이라며 “다만 공공기관의 장으로 선임된 지역위원장은 직무대행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조직 강화 차원에서 지역위원회 개편 작업을 벌이고 있다. 당 지도부는 이르면 9일 최고위원회회의에서 직무대행 체제 인정 여부에 대한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현재 청와대에 근무 중인 당 지역위원장 출신은 이용선 대통령시민사회수석을 비롯해 정태호 일자리수석, 한병도 정무수석, 나소열 자치분권비서관, 백원우 민정비서관, 조한기 제1부속비서관 등 모두 11명이다. 민주당은 지난해 청와대 비서진에 합류한 이들 지역위원장에 대해 직무대행 체제를 인정해 이들이 청와대를 나와 다시 지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한 바 있다.

하지만 당내에선 벌써부터 2020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직무대행 체제에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지역위원장의 임기는 2년이어서 이번에 선출되는 지역위원장은 2020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는 데 상당히 유리하다. 이 때문에 청와대 근무 경력 자체가 공천심사에 가점이 될 수 있는데 지역위원장 자리까지 사실상 보전해주는 것은 공정한 경쟁을 막는 ‘이중 특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당 관계자는 “이 분위기대로라면 다음 총선도 이번 지방선거와 마찬가지로 민주당이 우세할 것으로 예상돼 그 어느 때보다 당내 공천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며 “문 대통령의 참모라는 이유로 특혜를 받는다면 당내 갈등이 폭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지역위원장 직무대행 인정 문제는 공천과 관련된 민감한 이슈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청와대 참모의 지역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를 인정하는 결정은 특혜를 인정하면서 또 다른 유형의 ‘적폐’를 양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성진 psjin@donga.com·박효목 기자
#청와대참모들#지역구 특혜분양#논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