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知논술/독서로 논술잡기]‘실패의 힘’

  • 입력 2008년 10월 6일 02시 56분


◇ ‘실패의 힘’ /찰스 C 만즈지음/(예문)

실패(失敗)는 진정한 성공의 힘이다. 사람들은 실패를 통해 지혜를 얻으며 조금씩 성공에 다가간다. 성공의 중요한 비밀은 바로 ‘실패’에 있는 셈이다. 이 책은 ‘실패의 힘’을 어떻게 이용해야 성공에 이를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인들은 실패를 두려워한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단기적인 실패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패는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실패를 논술과 관련시켜 생각해 보자.

『(가) (1)시간낭비라고 할 수 있었던 오메가라고 하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의 실패는 결국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가장 유명한 마이크로소프트 엑세스를 탄생시켰다. (2)수백만 달러의 돈과 엄청난 시간을 투자한 IBM과의 운영체계(OS)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지만 이것은 훗날 Window NT를 만들게 된다. (3)실패한 ‘로터스 1-2-3’보다 진보된 개념의 프로젝트의 실패는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의 발전에 큰 도움을 주었고 모두가 잘 아는 것처럼 엑셀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시장을 선점하게 되었다. (37쪽)

(나) 한 남자는 나비가 고치에서 나오려고 애쓰고 있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었다. 작은 구멍으로 나오려고 무척 애를 쓰던 나비는 잠깐 활동을 멈춘 듯 보였다. 더 이상의 어떤 노력도 소용없는 듯 보였다. 그래서 그 남자는 가위로 그 고치의 껍질을 좀 더 벗겨서 구멍을 크게 하여 나비가 나올 수 있도록 도왔다. 나비는 쉽게 빠져나오게 되었다. 그러나 나비의 날개는 초라하고, 말라붙어 있었고 몸에 비해 왜소해 보였다. (61쪽)』

빌 게이츠의 성공 뒤엔 수많은 실패

시련-좌절에서 배워야 하는건 뭘까

(가)는 실패를 통해 성공의 기틀을 마련한 사례들을 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겪은 여러 번의 실패는 더 큰 성공을 위한 학습과 기회가 되었다. (나)는 진정한 성공을 거두기 위해 반드시 시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내용이다. 나비는 고치에서 나오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거듭해야 강력한 날개를 가질 수 있다. 이제 (가)와 (나)를 바탕으로 스스로 논술 문제를 만들고 답안까지 작성해 보자.

① ‘(가)를 통해 ‘실패’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고 현대인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시오’를 만들어 보자.

실패는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되지 아니하거나 그르치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가)의 글을 통해 ‘성공적인 삶을 위한 긍정적인 도전’이라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게이츠는 실패를 통해 성공의 눈을 키웠기 때문이다. 실패는 그에게 성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가르쳐주었고 오히려 성공의 기회를 제공했다. 현대인들은 실패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실패자’라는 말도 듣기 거북해 한다. 하지만 실패에 대한 관점을 바꾸면 장기적인 성공을 뒷받침해주는 것이야말로 ‘실패를 통한 학습’이란 사실을 알게 된다.

② ‘(나)의 글을 통해 남자의 행위를 비판하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인간 삶의 관점에서 설명하시오’를 만들어 보자.

나비는 작은 고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강한 날개를 갖게 되고 날아가는 데 필수적인 힘을 얻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남자는 나비가 시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장의 기회를 빼앗은 것이나 다름없다. 나비를 평생 비대한 몸에 왜소하고 쪼그라든 날개를 가지고 살아가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용기, 끈기, 공감 능력, 개인적인 성장과 같은 인생의 자산들은 바로 실패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과정에서 얻어진다. 실패는 인생의 날개를 튼튼히 하고 몸과 마음을 강하게 해 인생이라는 ‘비행’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은 수많은 실패의 경험을 성공의 요소로 바꾸는 방법을 알려준다. 그중에서 ‘실패를 있는 그대로 정직하게 받아들여라’는 대목은 주목할 만하다. 좋은 의도를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실패는 성공의 밑거름이 되기 때문이다.

이도희 선생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