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프리즘]서병훈/애정어린 쓴말 외면 하려나

  • 입력 2001년 8월 21일 18시 38분


지난해 책을 한 권 쓰면서 어렵사리 용기를 내보았다. 늘 마음은 있지만 실행에 옮기지는 못한 일, 그것은 가까운, 그리고 믿을만한 교수 몇 분에게 책의 초고(草稿)에 대해 비판해달라고 부탁하는 것이었다. 자기 일도 바쁜데, 남을 위해 귀한 시간을 쓰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꼼꼼히 읽고 상세하게 비판해 주었다. 얼마나 고마웠는지 모른다. 물론 날카로운 비판 때문에 속이 상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좋은 학우(學友)를 가졌다는 기쁨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었다.

‘제 눈의 안경’이라고 어떤 글이든지 당사자는 놓치는 것이 많다. 하다 못해 교정을 보는 것만 해도 그렇다. 아무리 되풀이해서 읽어도 오자가 나오기 마련이다. 제3자의 눈에는 그런 것이 훤하게 보인다. 쓱 일별만 해도 찾아낼 수 있다.

그래서 비판이 중요한 것이다. 천하의 잘난 사람도 인간인 이상 잘못을 범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그러나 자신의 눈에는 그 한계가 잘 보이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눈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타인의 거울을 통해 나의 잘못을 찾아내고 시정한다는 것은 인간만이 지닌 특권일지도 모른다.

솔직히 말해서 남으로부터 비판을 듣고 기분 좋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저 사람이 나에게 왜 저런 말을 하는지 본능적으로 안다. 나를 위해 그런 것인지, 아니면 나를 못되게 하기 위해 저토록 아픈 말을 하는 것인지, 척 보면 안다. 선의의 비판을 해줄 친구가 많으면 복 받은 사람이다. 그런 충고를 해줄 친구도 없고, 비판을 귀담아 들을 마음의 준비가 안 돼 있다면 참으로 딱한 사람이다. 물론 발전 가능성도 없다.

늘 책과 가까이 한다는 점에서 김대중 대통령은 정말 예외적인 정치인이다. 전 세계를 놓고 보더라도 김 대통령 정도의 지적인 풍모를 갖춘 정치인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그러다 보니 그 앞에서 감히 시시비비를 가릴 엄두를 내기가 힘든 모양이다. 더구나 만인지상(萬人之上)의 권력자가 아닌가. 그러나 그럴수록 남의 말을 듣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대통령을 진심으로 위하는 사람일수록 싫은 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대통령도 살고 나라도 산다. 안타깝게도 대통령 주변에 그런 사람이 많은 것 같지 않다. 대통령 자신이 그다지 애타게 찾는 것 같지도 않다. 모두를 위해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대통령에게 고언(苦言)을 하는 사람들이 없지는 않다. 집권당의 젊은 정치인들이 큰 결심을 하고 국정 쇄신을 요구했다. 쓴말인 것은 분명하나, 국민이 볼 때 틀린 말은 아니었다. 잘만 하면 보약이 될 수도 있는 비판이었다. 그러나 대통령은 듣지 않았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들도 이제는 입을 다물고 있다. 나라 살림이 자꾸 헝클어져만 가는데 그럴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자 침묵을 지키던 사회 각계 원로들이 나섰다. 32명의 원로들이 성명을 낸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필자는 때 마침 그 현장을 처음부터 목격할 수 있었다. 누가 보더라도 우리 사회를 대표할만한 연륜과 경륜, 양식을 가진 분들이었다. 정치적으로도 색깔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그들도 이 시점에서 성명을 발표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자칫하면 오해를 살 지 모른다는 생각에서였다. 망설임 끝에 성명을 냈다. 그만큼 나라 형편이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심각하고 침통한 마음으로 글을 써 나갔다. 물론 정부 여당에 대해서도 비판을 가하였다. 그러나 그 비판은 김 대통령에 대한 애정을 담고 있는 것이었다. 아직도 대통령이 잘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담고 있는 충언(忠言)이었다.

그러나 아무런 반향이 없다. 집권당 측에서 원망에 찬 푸념은 나왔지만, 진지하게 성찰하는 모습은 보여주지 않고 있다.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사람은 남의 비판을 두려워한다. 자신의 능력에 대해 터무니없이 과신하는 사람도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려 하지 않는다. 비판하는 사람의 진심을 못 믿기 때문에 안 들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본인을 위해서 불행한 일이다. 권력자의 경우에는 더 말 할 나위도 없다.

건전한 비판은 돈을 주고서라도 들어야 한다. 쓴말을 듣기 싫어하면 쓴맛을 볼 수밖에 없다. 이것은 역사가 증명하는 바이다.

서병훈(숭실대 교수·정치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