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대통령에게 권하는 책 30선]<19>오륜서

  • 입력 2008년 1월 31일 02시 58분


《“지식을 더 깊이 연구해 천하의 옳고 그름이나 사물의 선악을 분별하고, 갖가지 예능의 도를 체험해 세상 사람들의 속임수에 넘어가지 않게 된 후에야 비로소 전투 시에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전국 방방곡곡을 두루 돌아다니며 평생 여러 유파의 검술 사범과 수많은 결투를 치르면서도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는 일본 무사. 열세 살 때 결투에서 처음 이긴 뒤 스물아홉 살에 이미 60차례의 승리를 거둔 무사. 천하의 적수가 없자 서른 살 무렵 검도의 길을 통해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 데 몰두한 무사 미야모토 무사시(1584∼1645).

그의 전설적인 무패 신화는 오늘날까지 일본인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무사시의 ‘진검승부’(일본어 신켄쇼부를 한자 그대로 읽은 말)라는 말이 우리말처럼 쓰일 정도다.

하지만 무사시는 전설적 무용담의 주인공만은 아니다. 그는 검도(劍道)의 진리를 깨달은 쉰 살 무렵 ‘오륜서(五輪書)’라는 유명 병법서를 남겼다.

이 책에서 무사시는 잔혹한 무사의 모습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치밀한 전략가, 끊임없이 자신을 관리한 냉철한 경영인의 모습을 드러낸다. 오륜서는 결투에서 상대를 제압하기 위한 방법을 가르쳐 주는 동시에 인생의 온갖 풍파를 이겨 낼 지혜도 전해 준다.

유구무구(有構無構). 자세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는 뜻. 검법의 기본자세에 얽매여 상황에 따라 자세를 바꾸지 못하면 이길 수 없다는 것이다. 무사시의 이 가르침은 경직된 사고로 적과 나를 가르기에 바빴던 지난 우리 사회를 성찰하게 한다.

영화 ‘인정사정 볼 것 없다’, ‘형사’의 이명세 감독이 이 책을 추천한 까닭도 이와 같다. “이 책은 싸움의 목적은 적의 목을 베는 데 있다고 강조한다. 이는 좋은 결실을 내야 한다는 말이다. 즉,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다면 보수냐 진보냐를 떠나 대통령의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시길! 싸움의 목적이 무엇인지 항상 잊지 마시길! 그것은 국민을 위한 것이다.”

무사시는 병법의 도를 이루면 세상에 깨닫지 못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병법은 무사의 신념만이 아니라 사농공상(士農工商)이 세상을 살면서 익히고 닦아야 할 도(道)라는 것이다. 농부가 검을 집을 필요는 없다. 농부는 농기구로, 선비는 책으로 목적을 이루면 된다.

무사시는 병법을 배우려는 이들에게 “사심(邪心)을 품지 말 것, 여러 예능을 배울 것, 각 기능의 도를 알 것, 합리적으로 사물의 이해와 득실을 분별할 것, 모든 일에 사물의 진실을 구분하는 힘을 기를 것, 현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본질을 감지할 것, 사소한 현상에도 주의를 게을리 하지 말 것, 도움이 되지 않는 필요 없는 일을 하지 말 것”이라는 대원칙을 제시했다.

이 원칙을 익히면 남에게 지지 않는 것은 물론 장수가 돼서는 훌륭한 여러 인물을 부하로 삼아 능숙하게 거느리고, 자신의 몸을 바르게 해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보호해 천하의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에게 패하지 않을 자신을 가지고 자기 몸을 구하며 널리 이름을 떨치는 것이 진정한 병법의 도라고 강조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