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1171>孔子曰 爲此詩者는…

  • Array
  • 입력 2011년 6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맹자는 군주가 仁政(인정·어진 정치)을 베풀어야 한다는 점을 말하고, “어진 이가 지위에 있고 재능 있는 자가 직책에 있어서, 국가가 한가하거든 이때에 미쳐서 정치와 형벌을 밝힌다면 비록 강대국이라 하더라도 그 군주와 나라를 두려워할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고서 ‘시경’ ‘치효(치효·수리부엉이)’편의 ‘태天之未陰雨(태천지미음우)하여 徹彼桑土(철피상두)하여 綢繆유戶(주무유호)면 今此下民(금차하민)이 或敢侮予(혹감모여)아’라는 구절을 인용하고, 이어서 공자가 그 시구에 대해 풀이한 말을 언급해서 정치의 道를 강조했다.

孔子曰 이하 공자의 말이 어디까지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다. 교정청 언해본을 편찬한 학자들이나 신하들에게 경전에 관한 질문을 낸 정조는 誰敢侮之까지를 모두 공자의 말로 보았다. 단, 일설에 의하면 공자의 말은 ‘爲此詩者는 其知道乎인저’까지이고, 그 이하는 맹자가 부연한 말이라고 한다.

爲此詩의 爲는 지을 作과 같다. 此詩는 앞에 나온 ‘치효’편을 가리킨다. 其知道乎는 ‘아마도 도를 알고 있을 것이다’라고 추정하는 말이다. ‘其∼乎’는 추정의 뜻을 나타내는 어법이다. 道는 나라를 다스리는 도를 가리킨다. 能治其國家는 ‘군주가 국가를 제대로 다스린다면’의 뜻으로 주어가 생략되어 있다. 誰敢侮之는 ‘누가 감히 그 군주를 모욕하겠는가’인데, 아무도 감히 그 군주를 모욕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反語法의 표현이다.

‘치효’편을 과연 주나라 周公이 지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이 시는 군주에게 경고하는 뜻이 매우 강하여 역대 지식인들이 군주에게 정책을 건의할 때 즐겨 인용했다. 곧 이 시의 작가는 새가 둥지를 치밀하게 함을 비유로 삼아서 군주가 나라를 다스릴 때도 혹 닥쳐올지 모르는 患亂(환란)을 豫防(예방)해야 한다고 권고한 것이다.

정조의 질문에 답한 신하가 말했듯이, 아무리 예방을 해도 뜻밖의 환란이나 비방이 이르러 올 수도 있다. 하지만 나로서는 성심으로 綢繆유戶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 이치를 모르는 지도층 인사가 있다면 그를 두고 어찌 道를 안다고 하랴.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