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 집중진단/지자체 문화행사 붐]세계로 뻗는 지역축제

  • 입력 1999년 8월 9일 19시 21분


다양한 문화행사들이 지역마다 잇따라 열리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시작했던 문화행사들이 지역의 홍보와 경제효과면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나자 다른 지역에서도 여러 문화행사들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한 지역에서 잘 운영되는 행사가 있으면 다른 지역에서 이를 모방한 유사행사를 기획하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행사 준비과정에서 지자체 공무원들과 외부 전문가들 사이에 갈등이 빚어져 잡음이 일기도 한다. 각 지역 문화행사들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올바른 운영방안 등을 알아본다.

◆현황

6월초 전북 전주에서 세계 유일의 서예비엔날레인 ‘전북서예비엔날레’가 창립된 데 이어 9일 ‘수원국제음악제’가 처음 시작됐고 다음달에는 ‘청주 국제공예비엔날레’가 창설된다. 이같은 문화행사들의 러시는 이미 자리를 잡아가는 기존 지역문화행사들에 크게 자극받고 있다.

기존 행사 중 영화 분야에서는 지난 7월에 열린 ‘제3회 부천 판타스틱 영화제’와 ‘제4회 부산국제영화제’(10월14일∼23일), 연극 및 공연분야에서는 ‘11회 춘천인형극제’(8월12일∼16일), 95년부터 격년제로 열리고 있는 ‘제3회 제주국제관악제’(8월12일∼20일), 97년, 98년 2회에 걸쳐 열린 ‘과천세계마당극큰잔치’를 계승한 ‘마당99 과천세계공연예술제’(9월10일∼19일) 등이 개막을 눈앞에 두고 주목받는 행사들. 내년 3월에 열리는 광주비엔날레와 9월에 열리는 경주문화엑스포도 대규모 문화행사들이다.

문화기획사인 ‘메타 스튜디오’측은 “크고 작은 지역축제를 포함하면 현재 전국적으로 400여개의 각종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문화관광부는 올해 후원명칭을 허용하거나 300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원한 순수 지역문화행사만 3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했다.

◆효과

지자체들은 지역의 홍보와 경제효과에 주목한다. 부산국제영화제의 경우 96년 첫 대회를 치른 이후 지난해까지 20여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270여만명의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 131억원의 생산파급효과를 냈다는 게 부산시의 평가.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이 95년 춘천인형극제를 분석한 결과 5일 동안 총 1억3000만원을 투입, 3억8600만원의 경제파급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점

일부에서 외부 전문인력과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역문화인사들과의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 문화행사를 준비하다보니 외부에서 해당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해 일을 맡기는 경우가 많다. 각 지역에서는 ‘주인공은 어디까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역민’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이로 인해 사업진행 과정에서 지자체 또는 지역인사들과 외부 전문가들 사이에 잡음이 일기도 한다.

문화계에서는 전시준비 도중 전시총감독을 경질한 광주비엔날레와 집행위원장을 새로 뽑은 과천 세계공연예술제 등에서 외부전문가와 지방자치단체, 외부전문가와 지역문화인들의 갈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났다고 진단한다.

이밖에 지자체에서 행사를 지나치게 부풀려 과장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9일부터 12일까지 경기 수원시에서 열리고 있는 ‘제1회 수원국제음악제’의 경우 외국연주자가 단 한 명도 참가하지 않는데도 ‘국제음악제’라는 명칭을 사용, 행사규모를 부풀렸다는 지적을 받는다.

또한 비슷한 행사들이 겹쳐 열리는 데 따른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제1회 광주비엔날레가 열린 95년 ‘제주 프레비엔날레’도 막을 올렸다. 그러나 광주비엔날레에 관심이 쏠리면서 거의 주목받지 못한 제주 프레비엔날레는 결국 취소되고 말았다.

◆대책

지자체가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경우 전문가를 중심으로 하는 실무그룹과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업무분담이 명확해야 한다는 게 문화계의 중론. 또 외국의 사례나 국내에서도 잘 운영되는 지역의 사례를 연구해 참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전문가들은 기획단계에서부터 차별화된 전략과 장기적인 운영계획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원홍기자〉blues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