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훈의 호모부커스]책 도둑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2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표정훈 출판평론가
표정훈 출판평론가
  ‘이 책을 훔치거나 빌렸다가 돌려주지 않는 자의 손에서 책은 뱀으로 변해 그를 갈기갈기 찢어 놓으리라.’ 중세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산페드로 수도원 도서관의 책에 붙어 있던 도난 방지용 글귀다. 책 절도의 동기는 다양하다. 미국의 스티븐 블룸버그는 도서관이 일반에 공개하지 않는 책들을 해방시킨다는 망상에 사로잡혀, 1960년대 말부터 20여 년 동안 미국과 캐나다의 268개 도서관에서 2만3600여 권을 훔쳐냈다.

 우리 돈 약 55억 원 가치에 달하는 이 특별한 장물을 그는 팔지 않고 보관했다. 1990년 체포되어 5년 11개월 징역형과 20만 달러 벌금형 선고를 받고 복역했지만, 출소 후 여러 번 같은 혐의로 체포되었다. 변호인은 블룸버그의 정신 이상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세 때부터 30년간 유럽 각지 서점, 도서관, 박물관, 교회 등에서 5만2000권을 훔친 영국의 덩컨 제번스도 전설적인 책 도둑이다. 1993년 그가 체포된 뒤 4만여 권을 본래 소장처에 되돌려주는 데 2년이 걸렸고 1만2000여 권은 경매 처분되었다. 제번스는 학문에 대한 선망과 지식욕을 채우려 했다고 주장했다.

 1996년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에서 아이작 뉴턴의 ‘프린키피아’ 초판 인쇄본 두 권과 갈릴레이의 저작 유일본이 사라졌다. 2006년에는 폴란드 크라쿠프의 야기엘론스키대 도서관에서 고대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작 15세기 인쇄본과 코페르니쿠스, 케플러의 초판본이 도난당했다. 문화재급 책 밀거래로 큰돈을 챙기려는 이러한 절도에는 서지학자까지 가담하여 장물을 감정해 주기도 한다.

  ‘한량들이 종이 신발 신는 것을 멋으로 알고 또 이를 만들어 파는 자가 많은데, 신발 만들 종이를 구하고자 사대부 집과 관가에 책 도둑이 성행하니 단속하도록 하여 주십시오.’ 숙종 9년(1683년) 한성판윤이 올린 상소 내용이다. 책 절도의 이유치고는 역사상 참 드문 경우다. 조선 종이의 빼어난 내구성을 증언한다 할까.

 도서관 대출 자료 미반납도 심하면 절도가 될 수 있다. 2015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채핀 메모리얼 도서관 측은, 1996년 이후 책을 반납하지 않은 900여 명을 고발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들도 이 문제로 골치를 앓는다. 반납이 늦어져도 일정 기간 대출해주지 않는 것 외에 별다른 제재 방법이 없다. 잊는 것이 빌린 책인지 양심인지 모호해지기도 쉬운 책 미반납을 근절할 묘안은 없을까.
 
표정훈 출판평론가
#책도둑#프린키피아#도서관 대출 자료 미반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