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배의 神品名詩]바위의 말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전남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전남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바위의 말 ―이성부(1942∼2012)

나는 오랫동안 너무 게을렀거나
한자리에서만 맴돌아 생각이 굳어졌거나
그리움으로 목말라 바윗덩이가 된 것은 아니다
내 안에는 아직도 더운 피 터질 듯 힘차게 돌아 흐르고
이리 무겁게 앉아 있어도
갈수록 눈 깊어져 천만리 머나먼 바깥세상
잘 보이느니
사람들의 짠하고 아픈 사연 찾아 듣느라
귀가 늘어져서
정작 가까운 솔바람 소리 개울물 소리 따위는
귓가로 흘려버리고 말았느니
해남 두륜산 자락 포근함에 파묻혀서
멀리 일렁이는 산 구비 너머 바다 건너를
나는 그저 하염없이 바라보고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제 곧 내가 일어나 입을 열어 말할 것이고
세상 속으로
뚜벅뚜벅 걸어 내려갈 날도 멀지 않았다


멀고 먼 도솔천(兜率天)에서 여기 백두대간이 세운 불국정토의 높은 봉우리까지 찾아오신 미륵부처님! 사바세계에 걸어 나오시려면 석가모니께서 열반하신 지 56억7000만 년이 걸려야 된다고요? 그날이 오면 모든 중생이 번뇌와 고통을 벗고 고르게 잘사는 용화회상(龍華會上)의 낙원이 된다고요! 그러면 겨우 즈믄 해 눈, 비, 바람 맞으며 안으로 삭이시는 화두(話頭)는 언제쯤 깨치실 건가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되었다는 전남 해남 두륜산 대흥사에서 개울을 건너고 돌길을 숨 가쁘게 올라가면 멧부리에 가로 8m 너른 바위에 새겨진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大興寺北彌勒庵磨崖如來坐像·국보 308호)이 앉아 계신다.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방해하려는 땅 밑의 악마들을 제어하는 자세인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오른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자세)’으로 결가부좌하고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이 마주한 대좌가 저 토함산 석굴암 대불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고려 초기의 대표작이며 우리나라 마애불 가운데서도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히는 이 부처가 미래불인 미륵으로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은 몇 년 전 마애불 앞의 전각에서 발견된 상량문에서 밝혀진 이후부터다.

발로 백두대간을 누비며 시를 쓴 이성부 시인은 몇 번인가 이 부처를 마주하였을 것이고 저 땅끝마을 건너 다도해에 눈을 주고 있는 바위 속 부처님의 말을 알아들었을 것이다. ‘나는 오랫동안 너무 게을렀거나…’라고 운을 떼고 ‘뚜벅뚜벅 걸어 내려갈 날도 멀지 않았다’라고 했으니 우리 괴로움, 슬픔 없이 사는 날 정녕 가까이 오고 있으려나.

이근배 시인·신성대 교수
#바위의말#이성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