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임형주의 뮤직다이어리]광복의 기쁨-6·25의 아픔 함께 노래해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8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대한민국 광복 70주년 기념 특집
한국가곡의 역사③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 광복은 국내음악계에도 큰 변화를 몰고 왔습니다. 일제강점기에 표현의 억압은 물론이고 많은 고초를 겪은 한국가곡이 광복을 맞아 고유의 민족성과 주체성을 띤 자유로운 창작활동을 통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1920, 30년대 주를 이루던 조국을 잃은 슬픔과 애환을 달래준 서정적인 스타일과는 다른,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한 민족적인 노래와 애국적인 가곡이 다수 발표되었습니다. 또 진보적이고도 자유로운 형식의 작품과 다소 실험적인 곡들도 작곡되어 한국가곡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지요.

애국가가 포함된 자신의 교향곡 ‘한국 환상곡’을 지휘하고 있는 안익태 선생. 동아일보DB
애국가가 포함된 자신의 교향곡 ‘한국 환상곡’을 지휘하고 있는 안익태 선생. 동아일보DB
임형주 팝페라테너
임형주 팝페라테너
○ 안익태의 ‘애국가’

1945년 광복 후 3년 뒤인 1948년 8월 15일과 9월 9일에 우리나라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국가를 각각 세우고 정부를 수립하게 됩니다. 광복의 기쁨도 잠시, 나라가 둘도 갈라지는 믿지 못할 광경이 벌어지게 된 것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민족은 비통한 마음을 애써 추스르며 슬퍼할 겨를도 없이 대한민국의 희망찬 미래를 위해 원대한 애국심을 갖고 앞만 보며 더욱 정진해 나아가도록 한마음 한뜻으로 노력하였습니다.

한편, 그 시절 많은 국민에게 큰 힘이 되어주며 애국심을 고취한 노래가 한 곡 있는데요, 바로 안익태의 ‘애국가’입니다. 평양 출신 음악가인 안익태는 1919년 3·1운동에 가담한 것이 드러나 숭실중학교에서 퇴학당한 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그곳에서 음악활동을 하게 됩니다. 이후 미국 교민들이 스코틀랜드 민요인 ‘올드랭사인’의 곡조에 맞추어 대한제국의 국가를 부르는 것을 목격하고, 이를 매우 안타까워하여 1935년 애국가를 작곡했다고 합니다. 이듬해인 1936년에는 자신이 작곡한 교향곡 ‘한국 환상곡’의 마지막 부분에 애국가를 삽입하여 1938년 2월 20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아일랜드국립교향악단의 연주로 초연을 하였습니다. 그는 전 세계를 돌며 자신의 지휘로 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들과 함께 이 교향곡을 연주하며 우리나라 국가 멜로디를 알리고자 했습니다. 이렇듯 뜨거운 조국애를 품고 활약하던 민족음악가 안익태의 애국가는 1948년 대한민국 건국 및 정부 수립과 함께 대한민국 국가로 공식 제정되었습니다.


○ 6·25전쟁과 한국가곡의 정체

광복과 대한민국 건국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인 1950년 6월 25일, 청천벽력처럼 6·25전쟁이 일어납니다. 대부분의 음악인은 여느 국민과 마찬가지로 부산과 대구로 피란을 가거나, 월북하거나 북한으로 피랍되었고 작품의 악보와 악기들은 불타거나 분실되어 버렸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음악계는 정상적인 활동조차 할 수 없는 실정이었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음악인들은 일제강점기라는 최악의 현실도 견뎌냈던 불굴의 의지와 투지로 생사를 오가는 전쟁 통에서도 창작활동을 계속합니다. 당시 음악인들은 피란지 부산에서 위문연주회를 개최하는 열정을 보이며 전쟁으로 고통받는 많은 국민에게 큰 위로와 감동을 선사해 주었습니다.

○ 한국 최초의 여성 작곡가 김순애

우리 음악인들은 이러한 위문공연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문총구국대 산하 육군종군작가단, 해군종군작가단, 공군종군문인단 등을 조직하여 군부대로 직접 자원해 들어가 선무공작 등 정훈 분야에서 활약했습니다. 또 9·28 서울 수복 이후 음악인들은 해군의 협조로 해군문화선무대를 조직해 문화예술 및 음악활동을 기반으로 한 안보활동의 초석을 다지기도 했습니다.

또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여름, 육군본부 육군사관학교창설위원회의 육사 교가 공개모집에서 한국 최초의 여성 작곡가 김순애의 작품이 채택되기도 했는데요. 전쟁 속에서도 민족에 희망과 용기를 주고 음악으로 국가안보에 이바지하고자 했던 김순애의 마음을 오늘날 육군사관학교의 교가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후 육사는 1986년 김순애가 이화여대에서 정년퇴임을 할 때, 교가를 작곡해 준 데 대한 감사의 뜻으로 그녀를 초청해 특별사열식을 거행하기도 했습니다.

○ 전쟁 속에서 더 고군분투했던 국내음악계


전쟁 중이던 1951년 6월 30일 전북 군산극장에서는 테너 천길량의 첫 독창회가 열렸습니다. 7월에는 현제명이 작곡한 한국 최초의 창작오페라 ‘춘향전’이 1950년 서울에서의 성공적인 초연에 이어 부산과 대구에서 공연됐습니다. 같은 해 10월에는 김대현의 창작오페라 ‘콩쥐 팥쥐’가 초연되면서 한국적 창작오페라를 확립하고 국내음악계와 한국가곡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952년 6월에는 부산 남성여고 강당에서 김순애의 두 번째 작곡발표회가 있었습니다. 특히 ‘가곡의 밤’이라는 이름 아래 ‘물레’ ‘파초’ ‘진달래’ ‘눈’ 등 가곡만을 연주해 당시 젊은 여성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기도 했습니다. 같은 해 12월에는 나운영의 가곡집 ‘아흔아홉양’이 출판되었는데 민속적인 분위기를 현대적으로 승화시키는 새로운 작곡 기법과 음악적 경향을 보여줘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임형주 팝페라테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