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슈][사설]대종상까지 非理라니

  • 입력 2002년 8월 25일 18시 08분


검찰이 수사 중인 연예계 비리 혐의가 대종상에까지 옮아간 것은 충격적이다. 2000년 대종상 영화제를 앞두고 연예기획사 대표가 소속배우의 신인상 수상을 부탁하며 뇌물을 주었다는 여배우는 그 해 실제로 신인상을 수상했다. 비록 이번 비리 혐의가 신인상 청탁에 집중되고 있다고는 하나 2001년엔 심사결과의 공정성 물의 때문에 영화인회의 집행위원들이 총사퇴하는 등 대종상의 권위가 추락하는 것에 미루어볼 때 과연 지금까지 대종상이 ‘비리’와 무관하게 집행되어 왔는지도 의문이다.

영화인협회가 주최하는 대종상은 한국의 아카데미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우리 영화계의 독보적인 상이다. 영상산업은 21세기 감성 문화시대의 유망분야로 꼽히는 문화산업 가운데 핵심적인 ‘소프트 파워’이며, 이 중에서도 영화의 꽃인 스타는 젊은 세대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집단이다. 이 같은 영화산업과 스타가 추악한 비리에 관련됐다니 우리 영상산업의 앞날은 물론 영화를 사랑하는 많은 국민에게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 개탄스럽다.

대형 연예기획사에 대한 수사로 시작된 연예계 비리는 음반시장에 이어 방송사, 영화계까지 두루 마수를 뻗쳐온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우리는 검찰이 1990년대 들어서만도 90, 95, 99년에 연예계 비리에 대한 수사를 벌였던 것을 기억한다. 그러나 잊을 만하면 또다시 ‘검은 유착’의 문제가 불거져 나오는 것은 검찰 수사가 연예계의 구조적 본질적 비리를 뿌리 뽑지 못하고 늘 용두사미(龍頭蛇尾)로 끝났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번에야말로 엄정한 수사로 마무리지어야만 앞으로 우리 문화산업이 돈과 로비가 아닌, 자체의 경쟁력에 의해 발전할 수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지금 세계는 문화산업을 전략분야로 설정하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에서 집행하는 ‘정당한’ PR비는 마케팅비로 인정하고 투명한 경영을 유도하는 등 현실적 제도 마련과 정책 지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관련기사▼

- 대종상 신인상 선정에 금품로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