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경제정책 리더들]<4>경제분야 청장 8人

  • 입력 2003년 4월 9일 18시 20분


코멘트
《경제분야 청장(廳長)은 경제정책을 직접 입안(立案)하지는 않지만 일반 국민이나 기업의 피부에 가까이 와 닿는 정책집행을 책임지고 있다. 8명의 차관급 경제 청장 가운데 ‘파워’ 면에서 단연 두드러지는 인물은 이용섭(李庸燮) 국세청장. 실제 권한이나 주목도 면에서 웬만한 장관보다 강하다. 경제부총리를 포함해 경제부처의 장·차관급 공직자를 통틀어 유일하게 인사청문회를 거쳤다. 김용덕(金容德) 관세청장은 상품과 자본이 국경을 넘나드는 관문을, 김경섭(金敬燮) 조달청장은 공공물자 구매와 공공공사 발주를 각각 책임지고 있다. 또 철도행정의 ‘총수’인 김세호(金世浩) 철도청장은 2만9000여명이 넘는 ‘대식구’를 지휘한다. 유창무(柳昌茂) 중소기업청장과 하동만(河東萬) 특허청장은 산업분야, 김영욱(金榮旭) 농촌진흥청장과 최종수(崔鍾秀) 산림청장은 농림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용섭 국세청장 ▼

김진표(金振杓)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의 뒤를 잇는 대표적 세제(稅制) 전문가. 김 부총리의 후임 재경부 세제실장이었다.

국세청 사무관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해 재무부 재경부등에서 ‘세금 외길’을 걸어왔다. 재경부 국세심판원장과 세제실장, 관세청장에 이어 국세청장을 맡음으로써 한국에서 처음으로 ‘세금 분야 4대 요직’을 모두 맡는 ‘기록’을 세웠다. 당초 내심 재경부 차관을 원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같은 ‘세제통’인 김진표씨가 경제부총리로 오면서 꿈을 접었다가 국세청장에 기용됐다.

전남 함평 학다리고와 전남대 무역학과를 졸업해 ‘중앙무대’에서 출세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학연이 없었다. 호남 출신이지만 김대중(金大中) 정부에서 실세들에게 기웃거리지 않았다.

대신 일과 공부, 철저한 자기관리로 승부를 걸었다. 그가 1985년 초판을 낸 ‘국제조세론’은 이 분야의 이론적 기틀을 닦은 것으로 평가받았다. 조세 분야 연구로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도 받았다.

국세청장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야의원들이 모두 “뒤져봐야 별로 나올 게 없는 것 같다”고 입을 모아 화제가 됐다.

실무형이어서 ‘막강한 정치력’을 가진 국세청 고위간부들을 장악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과감한 ‘물갈이’로 ‘친정(親政)체제’를 구축했다.

8일 발표한 ‘국세행정 혁신방향 초안’은 침체된 경기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는 비판도 일부 있지만 큰 방향에서는 공감대가 넓다. 특히 “정치적 목적에 의한 특별세무조사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은 제대로 지켜질 경우 국세청의 진정한 개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다. 부하직원을 세심하게 배려하지만 “친근하고 편한 상사는 아니다”는 평도 듣는다.

▼김용덕 관세청장 ▼

현직 경제관료 가운데 최고의 국제금융전문가로 꼽힌다.

재경부 국제금융국장과 국제업무정책관을 지내는 동안 외환시장에 영향력이 커 ‘미스터 원’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외환시장을 읽는 감각이 뛰어나고 국제금융계에 인맥도 넓다.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전 일본 재무성 차관과 존 테일러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은 친구처럼 지내는 사이. 외환위기로 급락한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로 회복시키는 데도 꽤 기여했다.

외환전문가답게 관세청장 취임 후 합법적인 무역을 가장한 외화도피 등 불법외환거래를 뿌리뽑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옛 재무부 국세심판소에서 근무한 적은 있지만 역대 관세청장에 비해 세금 분야의 경험이 다소 부족하다.

▼김경섭 조달청장 ▼

DJ정부에서 기획예산처 정부개혁실장을 맡아 공공부문 개혁을 지휘했다. 공기업 퇴직금 누진제 폐지 등이 노조의 반대에 부닥쳐 지지부진하자 시민단체 대표들로 점검평가반을 구성해 압박하는 우회전술을 구사했다.

기획예산처 예산총괄심의관이던 2000년 8월 핵심요직인 예산실장 물망에 올랐으나 “건강이 좋지 않다”고 사양해 주위를 놀라게 했다.

여기에는 사연이 있다. 과거 선의의 경쟁 끝에 그를 제치고 요직 과장을 맡은 동료가 부임 후 소속국(局) 선후배들과 야유회를 갔다가 여객선 사고로 숨진 뒤 “자리 욕심을 갖지 말자”는 교훈을 깊이 새겼다고 한다.

▼김세호 철도청장 ▼

행시 24회로 차관급 청장에 오른 대표적인 발탁인사 사례.

이사관(2급) 승진 10개월 만에 1급이 됐고 다시 10개월 만에 차관급이 됐다. 1990년 과장(교통부 수송조정과장)이 된 뒤 차관급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불과 13년. 그의 행시 동기 대부분은 아직 중앙부처의 고참 과장급이다.

대학 졸업 후 3년여 동안 금호실업(현 금호산업)에서 근무, 공직 입문은 남보다 늦었다. 그러나 교통학 박사학위를 받을 정도의 탄탄한 이론과 함께 업무추진력 리더십 친화력 등을 바탕으로 초고속 승진을 거듭했다.

청와대는 그를 철도청장으로 임명하면서 “행시 24회 출신을 임명하는 게 지나친 파격이라는 지적에 공감하지만 업무능력에서 다른 대안을 찾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인간의 체력한계에 도전하는 극한운동 마니아로 마라톤, 산악자전거, 윈드서핑 등을 즐긴다.

▼유창무 중기청장 ▼

1999년 중기청을 탄생시킨 실무주역 가운데 한 명. 산업자원부 기획관리실에 근무하던 중 중기청 설립준비반 반장을 맡았다.

원래는 ‘자원통’이다. 옛 동력자원부 사무관에서 산업자원부 에너지산업심의관을 지낼 때까지 줄곧 에너지 관련 업무를 맡았다. 2차 석유파동 직후 약 3년간 석유정책을 담당할 때 ‘밥먹듯’ 밤을 새우면서 석유의 중요성을 가슴깊이 새겼다고 한다.

공직생활은 충북도청 새마을과에서 처음 시작했으나 1979년 동력자원부가 생기면서 지방에서 중앙부처로 자리를 옮겼다. 인력난과 경쟁력 악화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고민을 덜어주는 것이 과제다.

▼하동만 특허청장 ▼

옛 경제기획원과 국무조정실에서 주로 기획업무를 맡았다. 차관급 인사에서 자주 하마평에 올랐으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뒤늦게 발탁됐다.

특허청의 ‘상위부처’인 산업자원부 출신이 아니어서 취임 직후에는 “낙하산 인사성격이 강하다”는 반발도 있었다. 그러나 과장급 이상 100여명과의 1박2일 합숙토론회, 서기관 및 사무관과의 연찬회, 6급 이하 전 직원과의 토론회 등을 잇달아 가지면서 ‘조직과의 융화’에 나서고 있다.

2007년까지 특허심사기간을 현재 22개월에서 미국 등 선진국보다 빠른 12개월로 줄이기 위한 초석을 놓겠다고 강조한다.

▼김영욱 농진청장 ▼

부하 직원에게도 깍듯이 인사하는 등 친절이 몸에 배 ‘신사’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주변사람들의 말을 끝까지 경청하고 토론을 즐겨 현 정부와 ‘코드’가 맞다는 평.

지난해 농업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건설부지 선정을 둘러싸고 내부 마찰이 있었을 때 3개월 동안 반대론자들을 설득해 원만하게 마무리했다.

농진청장 취임 후 생산 중심의 정책을 소비자 중심으로 바꿨고 기초기술 연구보다 상품화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의견수렴을 지나치게 많이 하는 탓에 추진능력은 다소 떨어진다는 평도 있다.

▼최종수 산림청장 ▼

직원과 격의 없이 대화하는 것을 좋아해 ‘원탁형’ 청장으로 불린다.

기획원에서 오래 근무하다 농림부로 왔다. 통계와 기획에 밝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에 대해서는 밤샘토론도 마다하지 않는다. 지난해 산림청 정책방향에 관한 간부직원 워크숍 때는 오전 4시까지 토론을 해 직원들이 혀를 내둘렀다는 후문. 난(亂)개발 방지를 위한 산지관리법 제정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특별취재팀

▼2003 경제정책 리더들 취재팀 ▼

▽팀장〓권순활 경제부 차장

▽팀원〓천광암 구자룡 김광현 황재성 송진흡 이은우 김동원

공종식 고기정 기자(이상 경제부)

▼외청장 8人의 면모 ▼

경제분야 청장은 ‘상위 부처’ 1급을 거친 경제관료가 압도적으로 많다. 내부 승진은 드물다.

차관급 경제 청장 8명 가운데 내부 승진은 최종수(崔鍾秀) 산림청장과 김영욱(金榮旭) 농촌진흥청장 2명에 그쳤다. 국세청장에도 내부인사가 아니라 재정경제부 세제실장과 관세청장을 지낸 이용섭(李庸燮) 청장이 임명됐다.

기획예산처 또는 옛 경제기획원 출신이 두각을 나타낸 점도 눈에 띈다.

김경섭(金敬燮) 조달청장은 예산처 기획관리실장과 정부개혁실장을 지냈다. 하동만(河東萬) 특허청장은 1998부터 계속 국무총리 국무조정실에서 근무했지만 경제기획원에서 ‘잔뼈’가 굵었다. 최종수 청장도 과거 기획원 조사관리과장과 수급계획과장 등을 거쳤다.

경제부처 차관급 ‘빅3’인 김광림(金光琳) 재경부차관, 변양균(卞良均) 예산처차관, 권오규(權五奎) 대통령정책수석비서관도 모두 기획원 출신인 점을 감안하면 주목할 만하다.

지역적으로는 8명 가운데 5명이 호남 출신으로 절반을 넘는다. 경제부처 현직 차관 가운데는 호남이 한 명도 없는 점과 대조적이다. 이 때문에 차관과 청장을 포함한 경제분야 차관급 전체로는 균형을 갖추고 있다.

이용섭 하동만 김영욱 청장은 전남, 김용덕(金容德) 관세청장과 김경섭 청장은 전북이 고향이다. 또 유창무(柳昌茂) 중소기업청장은 충북, 김세호(金世浩) 철도청장은 경북, 최종수 청장은 강원 출신이다.

출신고교를 보면 김용덕 유창무 하동만 청장 등 3명이 용산고를 나와 눈길을 끈다. 유창무 청장과 하동만 청장은 고교와 함께 나이 출신대학 출신학과 행시기수가 모두 같다.

대학 전공은 행정학이 강세를 보였다. 유창무 하동만 김영욱 청장 등 3명이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김경섭 김세호 청장은 대학에서 각각 외교학과와 정치외교학과를 나온 뒤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행시 기수는 분포가 다양하다. 최종수 청장이 행시 11회로 가장 빠르고 김세호 청장이 24회로 가장 늦다. 유창무 청장과 하동만 청장은 13회로 김진표(金振杓) 경제부총리와 행시 동기다. 이용섭 김경섭 청장은 14회, 김용덕 청장은 15회, 김영욱 청장은 16회다.

경제분야 청장들은 모두 50대 초·중반으로 평균 연령은 53.3세다. 경제부처 차관 11명(권오규 정책수석비서관 포함)의 평균보다 0.8세가 낮다.


천광암기자 i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