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잔의 와인이 건강에 좋다’는 속설은 한 동안 정설로 여겨졌다. 수년에 걸친 많은 연구는 적당히 술을 마시는 사람이 금주하는 사람보다 심장병 및 기타 만성 질환의 위험이 낮고 더 오래 살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로 인해 적당히 마시는 술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믿음이 널리 퍼졌다.
그런데 ‘알코올 및 약물 연구 저널’(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에 실린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사회 전반에 퍼진 ‘반주 한 잔은 약주’라는 통념은 잘못된 과학적 연구에 기반하고 있다.
제1저자인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 소속 캐나다 약물 사용 연구소의 수석 연구원 팀 스톡웰 박사는 “간단히 말해, 적당한 음주와 건강상의 이점을 연결하는 연구는 근본적인 설계 결함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적당한 음주의 건강상 이점을 제안한 대다수 연구는 일반적으로 노년층에 초점을 맞추었고 사람들의 평생 음주 습관을 반영하지 않았다. 그로인해 적당히 마시는 중간 정도의 음주자는 건강 문제를 술을 끊었거나 줄인 ‘금주자’ 및 ‘간헐적 음주자’와 비교됐다.
“그 결과 술을 계속 마시는 사람들이 훨씬 더 건강해 보였다”라고 스톡웰 박사는 지적했다. 잘못된 비교를 통해 기만적인 결과를 도출해 냈다는 것.
스톡웰 박사와 그의 동료들은 107개의 관련 연구를 파악한 후 분석을 위해 연구 대상에 포함된 사람들을 장기간 추적하여 음주 습관과 수명의 관계를 확인했다. 연구진이 모든 데이터를 단순 종합했을 때, 가벼운 음주자(즉, 일주일에 한 잔에서 하루에 두 잔 정도 마시는 사람)는 금주자에 비해 연구 기간 동안 사망할 위험이 14% 낮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연구진이 자료들을 좀 더 꼼꼼하게 들여다보자 상황이 달라졌다. 연구시작 시점에 비교적 젊은 사람들(평균 55세 미만)을 포함하고, 과거 음주자였거나 가끔씩 술을 마시는 사람들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한 소수의 ‘질 높은’ 연구들을 찾아냈다. 이 연구들에서 적당한 음주는 수명 연장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질이 낮은’ 연구(노년층과 건강 문제로 술을 끊었을 확률이 높은 과거 음주자, 평생 금주자를 구분하지 않고 한 무리로 뭉뚱그림)에서는 적당한 음주가 더 긴 수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톡웰 박사는 “가장 설득력이 낮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건강상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라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적당한 음주가 더 건강한 삶과 장수로 이어진다는 개념은 수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톡웰 박사는 1990년대에 널리 퍼진 이른바 ‘프렌치 패러독스’(프랑스인의 역설)를 예로 들었다. 이는 프랑스인들이 기름진 음식을 많이 섭취함에도 불구하고 심장병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를 적포도주 음용에서 찾았다.
레드 와인에는 심장 혈관 내벽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어있다. 특히 레스베라트롤이라는 화합물이 가장 주목받는다. 하지만 이 화합물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쥐를 대상으로만 이뤄졌다. 하버드대학교 계열 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컬 센터의 내과의사 케니스 무카말 박사에 따르면 쥐가 건강 개선 효과를 본 것과 동등한 양의 라스베라트롤을 얻으려면 하루에 레드 와인 100잔에서 1000잔을 마셔야 한다.
스톡웰 박사는 술을 만병통치약으로 보는 시각이 여전히 대중의 상상 속에 뿌리박혀 있는 것 같다고 경계했다.
실제로 적당한 음주는 사람들의 수명을 연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오히려 특정 암의 위험 증가 등 잠재적인 건강 위험을 수반한다고 그는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주요 보건 기관도 무해한 음주 수준을 설정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완전히 ‘안전한’ 음주 수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박해식 동아닷컴 기자 pistols@donga.com
좋아요
3개
슬퍼요
0개
화나요
1개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2024-07-25 17:10:03
약간의 방사선도 몸에 해롭듯이 술도 건강에 전적으로 해롭다. 영화에서나 야전 응급시 독주로 상처 소독하고 마취제 대신 쓰는 것일뿐.
2024-07-25 16:29:39
아산 병원의 노인학 정교수는 늙어서 단한잔의 술도 치매로 연결된다고 하던데 하하..
2024-07-25 16:43:18
무식한 기자의 횡설수설. 딱 보면 문과 출신일 거라는 추론. 일반적으로 음주는 간에 해롭고 심혈괸계에는 이로운 경향이 있다. 죽는 사람들 1 위는 암이고, 2위는 혈관계다. 간때문에 죽는 사람은 혈관계 질환자보다 현저히 낮다. 그러니 통계를 내보면 술때문에 죽는 사람 수가 낮게 나오는 거다. 술이 건강에 좋을 리가 있냐? 단지 심장에는 좋은데 복합적으로 생각해야 되는데 무식한 문과 출신들은 그냥 암기 과목 공부하듯이 또 공식 외듯이 결론을 내린다
술을 많이 마시지는 않고 매일 먹으면 간에 안 좋은거는 맞다. 그런데 심장에는 좋다. 사망률을 따지면 심장에 의한 사망률이 간 사망률보다 월등히 높으니 통계적으로 보면 매일 약간의 음주가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오게 되어있다. 요는 자신이 심장에 문제가 있는지 간에 문제가 있는지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는 거다
2024-08-21 16:38:29
분명한 팩트도 거론하지 못한 이 기사를 쓴 기자는 기독교 광신도가 썼을 확률이 99%다
2024-07-27 21:20:45
술은 자신의 기분에 달렸다~ 3~4일에 한번쯤 마시는데 기분전환엔 상당한 효과가 있다. 술마시지 말라는 의사,박사들 제들은 양주만 잘 마시던구먼ㅡㅋㅡ
2024-07-26 00:00:24
술이 건강에 이로울 까닭도 없지만, 꼬인 문제를 술로 풀 수 있다는 믿음도 근거가 없다고 본다. 괜한 러브샷, 그런거 건강만 상하니 굳이 할 필요 없다.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2024-07-25 17:10:03
약간의 방사선도 몸에 해롭듯이 술도 건강에 전적으로 해롭다. 영화에서나 야전 응급시 독주로 상처 소독하고 마취제 대신 쓰는 것일뿐.
2024-07-25 16:29:39
아산 병원의 노인학 정교수는 늙어서 단한잔의 술도 치매로 연결된다고 하던데 하하..
2024-07-25 16:43:18
무식한 기자의 횡설수설. 딱 보면 문과 출신일 거라는 추론. 일반적으로 음주는 간에 해롭고 심혈괸계에는 이로운 경향이 있다. 죽는 사람들 1 위는 암이고, 2위는 혈관계다. 간때문에 죽는 사람은 혈관계 질환자보다 현저히 낮다. 그러니 통계를 내보면 술때문에 죽는 사람 수가 낮게 나오는 거다. 술이 건강에 좋을 리가 있냐? 단지 심장에는 좋은데 복합적으로 생각해야 되는데 무식한 문과 출신들은 그냥 암기 과목 공부하듯이 또 공식 외듯이 결론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