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소식]새 항암제-치료법 적용… 췌장암 생존기간 꾸준히 향상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건보공단 일산병원 박병규 교수팀
생존기간 향상 빅데이터로 확인
최근 유럽암학회지에 논문 게재

게티이미지코리아
게티이미지코리아
박병규 교수
박병규 교수
췌장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약 20%의 환자에서만 수술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치료 후에도 예후가 좋지 않다.

그러나 최근에는 췌장암 수술 적응증이 확대되고 수술 기법이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항암제들이 도입돼 치료 결과의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박병규 교수팀은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건강보험 청구를 이용한 전국 췌장암 환자 7만8920명을 대상으로 치료 경향의 변화와 진단 년도, 치료 방법, 연령군에 따른 췌장암 환자들의 생존 기간을 빅데이터 연구로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 중에 일차 치료로 수술을 받은 환자는 2006년 15.0%에서 2019년에 24.4%로, 항암 치료를 받은 환자도 2006년 22.2%에서 2019년 33.1%로 증가했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수술이나 항암 치료를 받은 비율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수술이나 항암 치료 환자가 약간 늘었지만 여전히 80% 이상의 환자는 보존적인 치료만 받았다.

환자의 생존 기간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2006∼2008년에 5.5개월에서 2018∼2019년 9.8개월로 4.3개월이 향상된 것이 확인됐다.

연령군별로 보면 59세 이하는 중앙 생존 기간이 8.8개월에서 18.8개월로 10개월, 60∼69세에서는 6.8개월에서 14.6개월로 7.8개월, 70∼79세에서는 4.2개월에서 8.4개월로 4.2개월이 향상된 반면 80세 이상은 2.4개월에서 3.4개월로 1.0개월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생존 기간의 향상은 연령이 낮은 환자군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치료 방법에 따른 중앙 생존 기간은 수술군에서 2006∼2008년 18.5개월에서 2018∼2019년 34.8개월로 점차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항암치료군에서는 2006∼2008년에 8.9개월, 2009∼2011년에 8.6개월, 2012∼2014년에 8.4개월로 변화가 없다가 2015∼2016년에 10.5개월로, 2018∼2019년에는 12.4개월로 더욱 향상됐는데 이는 최근 항암치료군에서 생존 기간의 뚜렷한 향상은 새로운 항암제의 도입 효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 책임자인 박병규 교수는 “대부분의 암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는 제한된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기에 각 연구의 대상 환자군과 연구가 진행된 의료 현장은 일반적인 의료 환경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임상 결과가 일반 환자들에게 그대로 실현된다고 할 수는 없다”라며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해 국내 대부분 환자를 포함하는 대표성이 있는 자료로 치료와 생존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따라 다양한 분석을 통해 췌장암에 대한 수술과 항암 치료가 점차 증가함을 확인했으며 그 결과로 환자들의 생존 기간이 향상됐음을 실제 데이터(real-world data)로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췌장암 환자의 치료 경향과 생존 결과: 국가적 인구기반 연구’로 암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유럽암학회지 최신 호에 게재됐다.

윤희선 기자 sunny03@donga.com
#헬스동아#건강#의학#췌장암#건보공단 일산병원 박병규 교수팀#새 항암제-치료법#유럽암학회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