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찬드라얀 3호’ 발사 성공…“달 착륙 성공하면 세계 4번째”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14일 22시 05분


코멘트
인도의 달 착륙선 찬드라얀 3호가 발사체 LVM3에 실려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찬드라얀 3호는 14일 오후 2시 35분(한국시각 오후 6시 5분) 발사에 성공 지구 궤도에 안착했다. ISRO 제공


인도가 달 착륙선 발사에 성공했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14일 오후 2시 35분(한국시각 오후 6시 5분) 인도 스리하리코타 발사장에서 발사체 LVM3에 실린 달착륙선 ‘찬드라얀 3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고체 부스터 및 페어링 분리 등에 성공한 찬드라얀 3호는 지구 궤도에 무사히 안착했으며, 8월 말 달 착륙을 시도한다. 이에 성공하면 미국, 소련, 중국에 이어 달에 착륙한 4번째 나라가 된다.

찬드라얀 3호는 2019년 달 궤도 진입에는 성공했지만 착륙 과정에서 실패한 찬드라얀 2호에 이은 두 번째 달 착륙선이다. 찬드라얀 2호는 착륙선과 궤도선, 로버 등으로 구성돼 있었지만 찬드라얀 3호는 궤도선을 제외한 착륙선과 로버만으로 이뤄져 있다. 찬드라얀 3호는 지구 주위를 돌다가 달 궤도로 진입해 달 주위를 5바퀴 돌고 난 뒤 임무 궤도로 진입하게 된다.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발사 40일 후인 8월 23일경 달에 착륙할 예정이다.

착륙 후 로버는 14일간 달 표면을 돌아다니며 달의 환경과 광물 자원을 탐사할 계획이다. 찬드라얀 3호가 착륙하려하는 달의 남극 지역은 그간 한 번도 착륙선이 탐색하지 않은 지역이다. 학계에서는 물의 흔적과 달의 얼음 존재 여부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SRO는 찬드라얀 3호 임무에 7500만 달러(약 949억 원)을 투자했다. 2007년에 발사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1호’의 경우 1억6900만 달러(약 2139억 원)가 투입됐다.

일본과 러시아도 연내 달 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내달 26일 오전 9시 34분 규슈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H-IIA 발사체 47호(H-IIA F47)를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H-IIA에 실린 소형 달 탐사선 ‘슬림’은 달의 적도 부근에 착륙할 예정이다.

러시아는 올해 8월 달 탐사선 ‘루나-25’를 발사할 계획이다. 루나 25 역시 찬드리얀 3호의 착륙 예정지인 달의 남극 근처를 목적지로 설정했다. 러시아의 달 탐사는 1976년 ‘루나-24’ 발사가 마지막이었다. 당시 루나-24는 달 토양 170g을 지구로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


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