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영숙교수,시베리아-中하천 10년 탐사…기후변화 단서 찾아

  • 입력 2004년 12월 16일 18시 34분


코멘트
중국 양쯔강에서 암석시료를 채취하고 있는 허영숙 교수(왼쪽).사진 제공 허영숙 교수
중국 양쯔강에서 암석시료를 채취하고 있는 허영숙 교수(왼쪽).사진 제공 허영숙 교수
“시베리아에서는 강이 고속도로죠.”

1994년부터 5년간 여름이면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에 위치한 큰 강으로 달려가곤 했던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허영숙 교수(35)의 말이다. 바이칼 호 근처에서 발원하는 레나 강을 비롯해 북극해로 유입되는 오염되지 않은 ‘원시 하천’ 5개를 매년 여름 두 달간 하나씩 섭렵했다. 그 후 5년간은 중국 베트남의 원시 하천들을 탐사했다.

허 교수가 길이 수백∼수천 km의 강을 탐험한 목적은 강물에서 시료를 채취해 지구 기후 변화의 비밀을 찾기 위한 것.

화석, 심해 퇴적물이나 남극 얼음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1억 년 전 지구의 평균기온은 현재에 비해 6∼14도 더 높았고 지난 수만 년 동안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됐다. 하지만 이런 자연적 기후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구는 생물이 살 수 있는 조건을 유지해 왔다.

허 교수는 “기후 변화의 요인으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 양의 변화가 가장 유력하다”며 “100만 년 이상에 걸쳐 이런 이산화탄소 양을 조절하는 중요한 원인은 대륙에서 일어나는 암석(규산염)의 풍화작용”이라고 설명했다.

암석에 든 칼슘 등은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빗물이나 강물에 녹는데 이것이 화학적 풍화작용이다. 이 물질은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 탄산칼슘(이산화탄소와 칼슘의 반응물) 등으로 바닥에 퇴적된다. 결국 화학적 풍화작용이 활발하면 대기의 이산화탄소 양이 줄고 온실효과가 감소해 기온이 떨어지게 된다.

허 교수는 1998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00년부터 노스웨스턴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올여름 서울대로 옮겼다. 1년 전 남극에서 숨진 전재규 씨를 기리는 뜻에서 3일 열린 제1회 추모학술대회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충환 동아사이언스 기자 cosmo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