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희망퇴직이 의미 있으려면[현장에서/김형민]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5대 시중은행이 작년 말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동아일보DB
5대 시중은행이 작년 말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동아일보DB
김형민 경제부 기자
김형민 경제부 기자
“타이밍만 잘 맞추면 5억 원 넘게도 받는다. 너도나도 희망퇴직 조건만 보고 있다.”

입사 15년 차인 한 시중은행 직원의 말이다. 은행들의 희망퇴직 시즌이 ‘연례행사’처럼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왔다. 각 은행들은 저마다 수억 원대의 목돈을 내걸고 중장년층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신청자를 받고 있다. 매년 각 은행이 쓰는 희망퇴직 비용만 수천억 원에 이른다.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말 1964, 1965년생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았다. 이들에게는 최대 31개월 치 평균임금과 자녀 학자금 2000만 원, 의료비 2000만 원, 재취업 지원금 2000만 원이 주어졌다. NH농협은행은 1963년생이거나 10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평균임금 기준 각각 28개월 치, 20개월 치를 특별퇴직금으로 줬다.

우리은행은 1964, 1965년생 직원을 대상으로 각각 평균임금의 30개월, 36개월 치 퇴직금을 줬다. 신한은행은 1961년생 이후 직원 등에게 평균임금의 최대 36개월 치를, KB국민은행은 1964∼1967년생을 대상으로 최대 35개월 치 평균임금을 줄 예정이다. 각 은행에서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관두는 직원은 이번에도 1000명을 훌쩍 넘길 전망이다.

은행권의 대규모 희망퇴직은 인위적인 구조조정이긴 하지만 이젠 직원들이 오히려 기다리는 이벤트가 됐다. 수억 원대 목돈을 거머쥐고 제2의 인생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들도 비대면 서비스와 지점 통폐합이 속도를 내는 시기에 높은 연봉의 잉여 인력들을 한번에 내보낼 수 있는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시니어 직원들을 내보낸 자리에 청년 구직자를 채용할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렇게 천문학적인 돈을 쓰며 벌이는 희망퇴직이 은행 전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고 있는지는 좀 더 따져봐야 한다. 대규모 구조조정이 의미가 있으려면 단순히 사람을 내보내는 데 그치지 않고 저금리·저성장,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은행들은 수익의 80% 이상을 이자 장사(예대마진)를 통해 얻고 있고, 자산 대비 기업가치도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이다. 핀테크 시대가 활짝 열렸지만 정보기술(IT) 등 새로운 분야의 인재도 아직은 은행권에 충분히 유입되지 않았다. 큰돈을 들여 애써 고비용 인력을 내보냈는데 이처럼 돈벌이 수단이나 기업가치 등 은행의 본질이 그대로라면 희망퇴직의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저금리와 제로성장이 상시화되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은행업의 혁신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 윗돌을 빼서 아랫돌을 막는 식의 단순한 인력 교체만 반복된다면 국내 은행들의 미래가 그리 긍정적이지 않을 것이다.

김형민 경제부 기자 kalssam35@donga.com
#은행#희망퇴직#현장에서#퇴직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