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경제계에선]애플 ‘아이폰 4S’ 발표에 예약 취소사태

  • Array
  • 입력 2011년 10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애플의 신제품 발표행사가 열리기도 전에 성행했던 각종 ‘아이폰5 예약사이트’에 취소 주문이 이어지고 있어. 5일 애플에서 기대를 모았던 아이폰5가 아니라 기존 아이폰4의 업그레이드버전인 아이폰4S만 발표했기 때문. 그동안 상당수의 휴대전화 판매점들은 비공식적으로 아이폰5 예약을 받으며 ‘베일에 싸인 아이폰5, 국내 출시 10월 7일’이라며 소비자들을 끌어 왔음. 이 때문에 한국소비자원은 비공식 예약 피해를 주의해야 한다고 발표하기도. 일부 아이폰5 예약사이트는 게시했던 제품 이름을 아이폰4S로 바꿔 예약을 받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10월에 아이폰5가 나온다더니 실망이다’ ‘언제 나올지 모르는 것 아니냐’며 잇따라 취소하고 있어.

아이폰4-갤럭시S2 출시 1년도 안돼 ‘찬밥’

○…아이폰4S와 갤럭시S2 LTE 등 최신형 휴대전화가 나오며 아이폰4, 갤럭시S2 등 출시한 지 1년도 안 된 제품은 이미 찬밥 신세.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이 아이폰4, 갤럭시S2 재고 물량을 소진하기 위해 과열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고. 일부 통신사는 갤럭시S2로 교체하면 현금 30만 원을 즉시 지급한다며 보조금 경쟁에 열을 올리는 상황. 통신사는 이 같은 행태는 대리점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본사와는 무관하다며 발뺌. 그러나 최신형 스마트폰이 새 가입자를 유입하는 효과가 적지 않은 만큼 본사에서 대리점에 이 같은 물량 밀어내기를 직접 지시한다는 관측도 나옴. 싼값에 최신형 스마트폰을 장만할 수 있다는 생각에 반색하는 소비자도 있지만, 이미 두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은 역차별이라고 주장하기도.

“최중경 장관 물러나면 정책네이밍은 누가”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뒤 지경부 내에서는 앞으로 ‘정책네이밍’을 누가 정할지를 놓고 고민. 복잡한 정부 정책을 간명한 말로 만들어 내는 것에 유독 관심이 많던 최 장관은 정부가 추진하는 대안 주유소의 이름으로 ‘알뜰 주유소’, 일터와 쉼터의 복합공간 이름으로 ‘QWL(Quality of Work Life)’ 등 상당수 정책의 이름을 직접 지었다고. 지경부 일각에서는 “최 장관이 물러나면 카피라이터라도 영입해야 되는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中企품목 발표장 정운찬 불참에 구설수

○…지난달 27일 1차 중소기업 적합품목 발표 당시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기자회견장에 불참한 것을 놓고 중소기업계에선 다양한 추측이 설왕설래. 동반성장위 측은 “정 위원장이 실무위에 1차 품목 선정을 위임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그동안 여덟 차례나 열린 본회의에 모습을 드러내온 정 위원장이 첫 적합품목 발표라는 의미 있는 자리에 갑작스레 빠진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분위기. 이에 따라 일각에선 “품목 선정이 불과 19개에 그친 초라한 결과를 정 위원장이 직접 브리핑하기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는 의견과 함께 정부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시한 게 아니냐는 추측도. 이에 앞서 정 위원장은 윤상직 지식경제부 1차관이 적합품목 가이드라인에 간섭한 사실 등을 놓고 “정부는 동반성장위에 이래라저래라 간섭하지 말기를 바란다”며 강하게 비판.

GS건설, 국내유학 외국인 첫 공개 채용

○…현재 본사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직원이 220명으로 국내 건설사 중 가장 많은 GS건설이 해외 경력직 발탁에 이어 한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첫 신입사원 공개채용에 나서 눈길. 국내 4년제 대학에서 학사나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외국인이 10일 오후 1시까지 GS건설 채용사이트(recruit.gsconst.co.kr)에 입사지원서를 제출하면 한국어로 진행되는 인·적성검사, 1차 실무면접, 2차 임원면접 등 한국인 신입사원 채용과 똑같은 절차를 거쳐 최종합격자를 선발할 예정. 회사 측은 해외건설 텃밭인 중동이나 시장 다변화를 추진 중인 중남미, 아프리카 출신 유학생들이 지원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지원하거나 문의한 지원자는 중국인 유학생이 대부분이라는 후문.

금융연구원, 예대마진 옹호 자료 내놔


○…금융연구원이 최근 국내 은행의 예대마진이 주요 선진국보다 낮다는 내용의 주간 자료를 발표해 논란. 국내 은행이 대출금리를 크게 올리면서도 예금금리를 그대로 둬 이른바 ‘이자놀이’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금융연구원이 시중은행을 옹호하는 논리를 만들었다는 지적이 대두. 실제 은행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은행연합회는 이 자료를 언론매체에 송부하면서 “기사 작성에 적극 활용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금융당국 관계자는 “자료를 작성한 연구위원이 ‘적정 마진이 형성되도록 정책당국과 은행이 모두 노력해야 한다’고 했는데, 비합리적 예대마진은 전적으로 은행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선을 긋기도.

<산업부·경제부 종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