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뉴스]중국 또 금리 인상… 한국경제에 어떤 영향 미치나

  • Array
  • 입력 2011년 7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中 물가 1%P 올라가면 한국 0.15%P 자극

《중국이 얼마 전 또 금리를 인상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중국이 계속해서 금리를 올리는 이유와 이런 움직임이 한국 경제와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중국 런민은행은 7일 금융기관의 예금 및 대출금리를 0.25%포인트씩 인상했습니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1년 만기 예금금리는 기존의 3.25%에서 3.50%로, 대출금리는 6.31%에서 6.56%로 0.25%포인트씩 뛰었습니다.

중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해 10월 이후 5번째, 올해 들어서만 3번째입니다. 중국이 이렇게 잇달아 금리를 올리는 것은 물가 때문입니다. 한국 못지않게 중국 정부도 물가상승 압력 때문에 심각하게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돼지고기를 중심으로 한 식료품 가격 불안으로 촉발된 물가의 고공행진에 정부는 속수무책입니다. 정부는 연간 물가상승률 목표를 4%로 책정했는데 6월에 이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6.4%를 넘어섰습니다. 3년 만에 최고 수준이고, 1년 만기 예금금리(3.5%)보다도 한참 높습니다. 물가상승률이 금리보다 높다는 것은 돈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의미이고, 그만큼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한국의 물가상승에도 영향을 줍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중국의 물가상승률이 1%포인트 오르면 7개월 정도 시차를 두고 한국의 물가상승률을 0.12∼0.15%포인트 올릴 것으로 추정할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물가를 잡기 위한 중국의 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불러올까요. 다행히 7월 중국의 금리 인상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예견됐기 때문에 국내증시에 바로 큰 타격을 가하지는 않았습니다. 대다수 전문가는 “이미 시장에 반영된 소재라 증시에 미칠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지요. 하지만 중국 정부가 금리를 인상하면 중국 경제가 위축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에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시장의 수요가 줄면 당장 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들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번 금리 인상으로 중국의 긴축정책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느냐, 아니냐 하는 점일 텐데요. 여기에 대해서는 해석이 다소 엇갈립니다. 일부에서는 올해 3번째인 이번 금리 인상으로 중국의 긴축 정책이 완화될 것이라고 봅니다. 중국의 물가상승률이 6월에 정점을 찍고 내려올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이지요. 국제금융센터 이치훈 연구위원은 “소비자 물가가 6월을 정점으로 완만히 둔화돼 연말에는 4% 내외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국의 긴축 정도가 크게 완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금융시장 경색이나 중소기업 자금난, 그리고 대출받아 집을 산 서민들의 원리금 상환 부담 등을 감안할 때 올해 중에 금리를 더 올리기 힘들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그렇게 되면 중국 정책 기조가 ‘긴축’에서 ‘경기와 성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란 기대이지요.

하지만 중국의 긴축 완화를 속단하기 이르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중국이 향후 5년간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7%로 올해(8%)보다 낮춰 잡은 데다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 성장방식의 전환, 민생 보장에 좀 더 중점을 두겠다는 선언적 의미입니다. 여기에 여전히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데다 물가하락세가 완만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점도 추가 금리 인상을 점치게 합니다.

이제 ‘물가’와 ‘성장’의 균형 잡기에 나선 중국 정부의 노력에 국내 기업들은 적응해야 할 겁니다. 이를 위해선 장기적으로는 중국 현지화 노력을 확대해야 합니다. 또 수출전략도 다변화해야 합니다. 중국 정부의 변화를 비관적으로만 바라볼 일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중국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10% 이상이었기 때문에 목표치(7%)만큼 빨리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국내 기업의 대중국 수출입에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설령 중국 성장률이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중국이 과거 수출중심에서 대내외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내수 확대로 가겠다는 것”이라며 “소비 확대를 통해 내수 시장이 커진다는 것은 국내 기업들에도 그만큼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