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마당/허경미]자치경찰제案기대 못미쳐

  • 입력 2004년 9월 23일 18시 34분


코멘트
2006년부터 자치경찰제를 본격 도입하겠다는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의 발표는 매우 고무적이다. 그동안 정치권과 경찰학계 등에서 계속 요구해 왔지만 매번 이런저런 이유로 무산됐던 터라 더욱 그렇다.

그러나 이번에 제시된 자치경찰제안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시군구 등 기초자치단체장에게 자치경찰제 도입 선택권을 주도록 한 것은 자치경찰제의 근본인 수요자 중심, 곧 주민 중심의 경찰서비스 제공이라는 이념을 반영했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자치경찰의 인력 규모와 관할 사무의 불균형이 지나치다는 우려가 있다. 자치경찰 인력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0∼100명이며 관할 사무는 방범순찰, 기초질서사범 및 보건위생 단속, 교통, 환경 감시, 문화재 및 관광지 관리, 관세사범 등 경제범죄 단속, 근로 감독 및 산업안전 사무 등으로 매우 광범위하다.

이 가운데 방범순찰 등의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당한 전문적 지식과 업무 처리 기술, 그리고 장기적인 시간이 요구되는 영역으로 충분한 전문 인력의 확보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자치단체의 열악한 재정상태를 감안할 때 이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결국 현재처럼 특별사법경찰관으로서의 권한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업무영역 다툼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112신고 체제를 현행대로 유지할 경우 112신고 접수자가 사안별로 판단해 자치경찰이나 국가경찰에 출동을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신고 내용이 불명확하거나 관할권이 애매한 경우에는 접수자가 해당 사안의 업무 주체가 누구인지 판단하기 어려워 출동 지시가 지체될 수 있다. 지시가 떨어져도 양측이 서로 업무를 떠넘기는 등 분쟁이 일 소지가 있다. 이 때문에 생기는 피해는 온전히 주민의 몫이 될 것이다.

한편 자치경찰에 대한 인사권을 자치단체장에게 어느 정도 줄 것인지도 앞으로 첨예한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 자치경찰의 채용 승진 전보 교육 등 모든 인사권을 자치단체장이 행사하지 못한다면 지휘 감독에 상당한 제약을 받을 것이다.

국가경찰 중 3000여명을 차출해 자치경찰로 임용한다는데 그 선정 기준 및 자치경찰과 국가경찰간의 보수 및 후생 복지 수준의 형평성, 청원경찰과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경찰권 부여 여부 등 풀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가 모두 해결된다 해도 근본적인 문제는 남는다. 자치경찰의 본래 의미가 주민이 지역의 경찰사무를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처리하는 제도라고 할 때, 과연 현재 제시된 안은 그런 의미를 제대로 살리고 있는가. 그보다는 그동안 자치단체가 소극적으로 행사하던 보건 위생 환경사범 단속 등의 행정경찰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할 것을 요구하는 것에 불과한 것 아닌가. 그 위에 순찰업무와 경범죄단속권을 고명과 양념으로 얹어서 말이다. 그렇다면 정부가 주장하는 주민생활 중심의 자치경찰은 헛구호일 수밖에 없다.

15만여명의 거대한 국가경찰력으로도 제공하지 못하는 생활치안을 고작 6000여명의 자치경찰이 수행할 수 있다고 믿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허경미 계명대 교수·경찰행정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