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여야 ‘민생정책 협의체’ 먼저 구성을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4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與 구체적 계획없이 “협치” 강조… 野와 일자리-복지 등 머리 맞대야
靑 18일 대국민 메시지에도 관심

정치권뿐 아니라 국민의 관심은 4·13총선 결과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입’에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18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공개발언을 한다. 새누리당에 122석의 참패를 안기고 20년 만에 3당 체제를 만든 ‘4·13 표심’에 대해 박 대통령이 처음으로 직접 언급하는 자리다.

청와대는 총선 다음 날인 14일 “20대 국회가 민생을 챙기는 새로운 국회가 되기를 바란다”는 두 줄짜리 논평을 내놓아 여론의 비판을 받았다. 당청 및 여야 관계의 전면적 쇄신을 요구하는 민심과는 동떨어진 반응이었다. 이 논평은 박 대통령의 재가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내부에선 “18일에도 대통령이 구체적인 국정 전환 메시지를 내놓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민심을 다독이기 위한 국정 쇄신 방안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박 대통령 눈치만 살피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원유철 비상대책위원장은 15일 기자간담회에서 “20대 국회는 타협과 협상을 통한 협치(協治)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했지만 역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진 못했다. 정치권에선 새누리당의 비대위가 꾸려지면 박 대통령과 직접 만나 종합적인 국정 쇄신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표적인 방안으로는 박 대통령의 2012년 대선 공약이 거론된다. 박 대통령은 당시 야권 지도자를 포함한 국가지도자연석회의를 만들어 초당적 국정 운영을 할 것을 약속했다. 하지만 이후 연석회의는 물론이고 여당 대표와의 월례 회동조차 열리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3당 대표를 청와대로 불러 경제와 안보 등 국정 전반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협조를 당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 비대위원장은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가 전날 제안한 ‘총선공약점검 특별위원회’와 ‘미래일자리 특위’ 구성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국민의당 김성식 최고위원은 복지와 세금 부담, 정규직과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여야정 정책협의체’를 제안하기도 했다. 입법 권력이 야당에 넘어간 상황에서 야당과의 국정 협의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주문이다. 첫 출발은 여야 ‘민생정책 협의체’ 구성이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민생정책#협치#국민의당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