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멕시코産 모든 제품 대상… 내년 1월 20일 취임 첫날 명령
중국산 수입품엔 10% 추가 관세… 마약-불법이민자 침공 막을 것”
세계경제 ‘트럼프 리스크’ 현실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5일(현지 시간) “내년 1월 20일 취임 때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문서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중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라고 했다.
취임을 55일 앞두고 ‘관세 폭탄’을 예고하면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앞세운 세계 경제 재편에 시동을 건 것이다. 미 달러에 대한 주요국 통화 가치가 하락하고 각국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등 ‘트럼프 리스크’가 현실화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멕시코와 캐나다를 통해 쏟아져 들어오는 수천 명이 미국에 전례 없는 수준의 범죄와 마약을 퍼뜨리고 있다”며 “두 나라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권한을 사용하길 요구하며 그렇게 될 때까지 그들은 매우 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관세는 마약, 특히 펜타닐과 불법 이민자의 침공이 멈출 때까지 효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이번 메시지는 취임 첫날 이웃 국가이며 동맹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25%로 올리는 행정명령을 발효시킨다는 뜻이다. 미국은 그간 자유무역협정(FTA)의 일종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맺고 있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무관세를 적용해 왔다.
그는 중국에 대해선 “펜타닐 반입에 대해 여러 차례 얘기를 나눴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또 중국이 펜타닐 원료 유통을 멈출 때까지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3700억 달러(약 490조 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7.5∼25%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이에 더해 10%를 추가로 부과한다는 것이다.
멕시코, 캐나다, 중국은 각각 지난해 미국의 1, 2, 3위 교역국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최대 교역국을 타깃으로 한 관세 압박을 강화한 것은 ‘미국 우선주의’를 위해 글로벌 교역 체제를 뒤흔들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조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멕시코 등에 투자를 늘린 한국 기업들은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카드를 앞세워 대미 무역흑자 해소, 방위비 재협상 등을 요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웃 국가부터 ‘美 우선주의’ 압박… 1기때 체결 자유무역체제 흔들어
[동맹부터 때리는 트럼프 관세] 불법 이민-마약 유통 방관 빌미… 교역 상위 3개국 한꺼번에 노려 30년 북미자유무역 막내릴수도… ‘이웃나라 궁핍화’ 연쇄 충격 우려
“관세 부과 예고는 취임 전부터 (다른 나라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이다.”
미국 월가의 유명 투자자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털 최고경영자(CEO)가 25일(현지 시간) 소셜미디어 X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부과를 지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의 이익을 위해 관세를 무기로 한 ‘미 우선주의’ 정책을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트럼프 당선인은 내년 1월 20일 취임 첫날 멕시코와 캐나다에 각각 25%, 중국에는 추가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공약의 신속한 이행을 위해 미국의 최우방국이며 동맹국인 멕시코와 캐나다를 조준하면서 ‘국익 앞에서는 적과 친구의 구분이 없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일각에선 이번 조치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이웃 나라를 가난하게 만드는 ‘근린궁핍화(beggar thy neighbor) 정책’이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멕시코, 캐나다, 중국은 지난해 기준 미국의 1, 2, 3위 교역국이다. 세 나라와의 교역 비중은 미 전체 교역의 약 40%를 차지한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공격적인 관세 부과 정책이 실현되고, 일부 나라가 보복 관세 등으로 맞서면 글로벌 경제와 무역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취임 당일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25%, 중국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밝혔다. 차기 행정부에서 일할 15명의 장관 인선을 마치는 등 내각 구성을 마무리한 지 이틀 만에 3대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한 것이다. 이는 관세 부과가 형식적인 대선 공약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약속한 것은 강경한 관세 정책을 관철하겠다는 가장 분명한 신호”라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집권 1기 때보다 한층 강화된 관세 폭탄을 예고했다. 첫 임기를 시작한 2017년에도 멕시코, 중국 등을 상대로 관세 부과를 위협했지만 취임 7개월 후에야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또 2018년부터 중국산 철강 등 일부 품목부터 순차적으로 관세를 매겼다. 하지만 2기에선 무역 관행에 대한 조사나 협상 등을 건너뛰고 취임 첫날부터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할 뜻을 밝힌 것이다.
관세 부과 이유도 명확히 밝혔다. 멕시코와 캐나다엔 불법 이민자 유입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는 점을, 중국에 대해선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원료 유통을 방관한다는 점에 강한 불만을 표했다. 트럼프 2기에서는 이 같은 외교안보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필요할 경우 관세를 사용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다.
● 위기 맞이한 USMCA
트럼프 당선인이 언급한 방향으로 관세 부과가 실현되면 트럼프 집권 1기 때 체결됐던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와해 위기에 처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첫 집권 때 1994년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 불만을 표했다. NAFTA 때문에 인건비가 싼 멕시코로 제조업 일자리가 빠져나가고, 미국이 제재한 중국 상품도 멕시코를 거쳐 우회적으로 수입되고 있다는 게 이유였다.
이에 그는 NAFTA를 폐지한 뒤, 협정 가입국이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지 못하도록 하겠다며 USMCA를 2018년 체결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자 USMCA 재협상을 주장해 왔다. 이에 따라 트럼프 2기에서 USMCA 재협상이 진행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일각에선 캐나다도 미국과의 개별 FTA 체결을 원하고 있어 북미 3국의 자유무역 체제가 30년 만에 막을 내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관세 부과 발표로 협상력 높일수 있어
다만,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당일 관세 인상 행정명령에 서명하더라도 곧바로 관세가 인상될 가능성은 낮다.
관세 인상 이유로 불법 이민자 유입과 마약 유통을 지적한 만큼 행정명령에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상무부에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과의 교역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칠 영향을 조사해 관세를 인상할 것을 지시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상무부가 국가안보 위협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무부가 관세 인상안을 발표하기까지 최소 수개월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미 싱크탱크 유라시아그룹 이언 브레머 회장은 소셜미디어에 “취임 두 달 전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에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역제안을 받을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했다”며 “이는 분명 (트럼프 당선인의) 의도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대선 전부터 트럼프 당선을 얘기했고 트럼프 2기에는 관세 폭탄이 터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다들 욕하더라 그런데 이제와서 현실로 닥치니 대응이네 뭐내 말하면서 난리지만 오히려 지금은 차분하게 대응하라
2024-11-27 06:56:01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있는한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믿을수없는 나라이다 트럼프같은 범죄자에 사기꾼 성추행범을 대통령으로 뽑은 미국민도 야만인과 다를바 없다 전쟁일으키는 푸틴을 전쟁일으킬때마다 뽑아주는 러시아 국민들처럼 미국민들도 삼류국민에 불과하다 그들과의 거래를 서서히 줄여야 된다 그리고 어떠한 명분을 찾든지 반드시 우리도 핵을 개발해야 한다 트럼프는 미군 주둔에 대한 대가를 점점 심하게 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핵보유와 미군철수를 서로 교환해야 한다 핵 보유를 인정하지 않으려면 미군 주둔대가를 요구하지 말아야한다
이럴때 한번 시원하게 도람뿌놈 저주해야겠다. 그래. 너 혼자 잘x먹고 벽에 똥칠할 때까지 잘살아봐라. 네게 친구나 이웃이 있겠느냐? 네가 신의나 의리가 있는 者인가? 네게 인류애나 인성이 있는가? 기껏 4년후면 저쪽으로가봐 짜샤! 어이, 시원하네.
2024-11-27 11:46:26
무엇보다 트럼프의 이번 발표는 미국내에서 심화되는 마약문제에 대한 일종의 경고이다. 아편으로 대영제국이 청을 무너트렸듯, 이제는 중국/북한등의 마약이 미국을 내부에서 병들게 하고 있다. 미국으로 흘러드는 상당수의 마약은 멕시코/캐나다를 통해 반입되며, 트럼트는 이번조치로 해당국가들에 마약단속과 불법 이민자의 유입을 알아서 선제적으로 관리하라고 압박을 하는거다.
2024-11-27 11:39:13
이건 순전히 본인의 공부가 부족하여 질문 차원에서 드리는 말이니, 잘 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만약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이 단합하여, 광범위하게 FTA를 체결하고, 미국과는 모든 교역을 끊으면 어떻게 될까? 그래도 도람뿌식 미국 우선주의가 통할까? 전세계(미국과 동맹 또는 우호관계)가 단결하여 미국을 배척할 수는 없는가? 도람뿌와 건방진 미국놈들의 버르장머리를 고쳐 줄 방법은 없을까?
2024-11-27 11:37:12
4년 동안이지만 우리나라도 경제 분야에서는 걱정이다. 미국도 세계의 경찰 국가처럼 계속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우리가 문제다. 언론도 함부로 말을 못하는 미국이 쥐고 있는 군사작전권도 그렇다. 한국은 안보 때문에 미국에게 꼼짝 못하고 사는 나라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국민들이 우리들 처지를 알아야 한다.
2024-11-27 09:37:06
삭제된 댓글입니다.
2024-11-27 09:00:54
수입하지 않으면 미국 삶이 피폐해져 쉽지 않을텐데. 달러찍어 해결이 안되쟎아? 협박이나 해서 갈취하는 미국 서부시대의 갱단이 따로 없네. 그러다 언젠가 총맞아 죽는다.
2024-11-27 08:26:54
야 ㅡㅡ트럼 프 야ㅡㅡ우 씨
2024-11-27 08:01:22
동맹국은 말로만 동맹인가 힘이 있다고 그 힘을 약한 자에게 휘두르면 깡패와 같은 것이고 동맹을 저버리는 행위는 이율배반하는 것 이런 나라를 믿는 자가 미련한 것이 아닐까 미국에도 일본에도 까이는 것은 무엇이라 말을 해야하나
트럼프의 지위는 우리와 달리 레드 수왑을 이루어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졌다 우리는 여소야대의 의회로 무슨 일이던지 정부가 할 수 없다 심지어 범죄를 저지른 찢명이 무죄가 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트럼프는 모든 국가기관과 상하원의회를 장악한 이른바 레드스왑을 이루었다 누가 트럼프를 말릴 수 있나 시진핀? 푸틴도 구걸하는 상황이다 중동전쟁을 멈추게 만든 트럼프 이제 우리는 트럼프가 무엇을 우리게 요구 할 수 잇는지를 살펴야 한다
댓글 30
추천 많은 댓글
2024-11-27 04:06:32
한국에 약간 피해가 있더라도 중국만 멸망시켜라
2024-11-27 05:30:24
미국 대선 전부터 트럼프 당선을 얘기했고 트럼프 2기에는 관세 폭탄이 터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다들 욕하더라 그런데 이제와서 현실로 닥치니 대응이네 뭐내 말하면서 난리지만 오히려 지금은 차분하게 대응하라
2024-11-27 06:56:01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있는한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믿을수없는 나라이다 트럼프같은 범죄자에 사기꾼 성추행범을 대통령으로 뽑은 미국민도 야만인과 다를바 없다 전쟁일으키는 푸틴을 전쟁일으킬때마다 뽑아주는 러시아 국민들처럼 미국민들도 삼류국민에 불과하다 그들과의 거래를 서서히 줄여야 된다 그리고 어떠한 명분을 찾든지 반드시 우리도 핵을 개발해야 한다 트럼프는 미군 주둔에 대한 대가를 점점 심하게 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핵보유와 미군철수를 서로 교환해야 한다 핵 보유를 인정하지 않으려면 미군 주둔대가를 요구하지 말아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