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 미군 가족 “웜비어와 같은 피해 입을까 걱정돼”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7월 28일 08시 26분


코멘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견학 중 월북한 주한미군 트래비스 킹 이등병. 뉴시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견학 중 월북한 주한미군 트래비스 킹 이등병. 뉴시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견학 중 월북한 주한미군 이등병 트래비스 킹이 현재까지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킹의 가족들이 오토 웜비어와 같은 피해가 발생할까 우려스럽다며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청했다.

킹 이등병의 외삼촌인 마이론 게이츠는 27일(현지시간) 미 N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가 미국을 위해 싸우기 위해 군에 갔을 때 미국은 그를 위해, 그가 집으로 올 수 있게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킹의 가족들은 웜비어 가족들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버지니아대 경영학부 소속 대학생이었던 웜비어는 2016년 북한 여행 중 억류돼 2017년 6월 혼수상태로 석방됐다. 석방된 그는 미국으로 돌아왔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일각에서는 웜비어가 북한에 억류 중 고문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게이츠는 “가장 최악의 두려움이 내 어린 조카가 그렇게 돌아오는 것”이라며 “킹이 갔을 때처럼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 정부는 킹 이등병의 소재와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해 미 국방부를 중심으로 북한과 소통에 나섰지만 지금까지 북한은 묵묵부답이다.

베단트 파텔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도 킹 이등병과 관련한 새로운 소식이 없다고 밝혔다.

게이츠의 여동생은 인터뷰를 통해 “하루가 끝날 때쯤 아무도 없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낀다. 그런 날이 점점 더 길어지고 있고 밤은 더 최악이다”며 “킹이 무슨 일을 당할지 자꾸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킹 이등병은 한국에서 민간인을 폭행한 혐의를 받아왔다. 그는 추가 징계를 미국에서 받기로 결정됐고 지난 17일 이를 위해 인천국제공항까지 갔지만, 귀국행 비행기에 오르지 않았다. 이튿날인 18일 그는 민간업체 JSA 견학 프로그램에 모습을 드러냈고 돌연 월북했다.

최재호 동아닷컴 기자 cjh122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