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현지 시간) AP통신, CNN 등에 따르면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애리조나대, 호주 시드니대 공동 연구진은 중국 우한 화난(華南) 수산시장 내 동물 우리, 수레, 바닥 등에서 2020년 1∼3월 면봉으로 채취한 유전자 데이터를 재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에 양성 반응을 보인 유전자 샘플에는 이 시장에서 판매됐던 너구리 유전자가 상당량 섞여 있었다. 이는 너구리가 코로나19 바이러스 숙주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앞서 코로나19는 박쥐나 멸종위기 포유류인 천산갑을 거쳐 사람에게 전파됐을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더해 너구리가 중간 숙주일 가능성이 더해진 것이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코로나19와 야생동물 간 연관성을 보여줄) 이 데이터는 3년 전 공유될 수 있었고 공유됐어야만 했다”면서 중국을 비판했다. 아울러 코로나19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선언에 대해 “올해 안으로 해제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클 라이언 WHO 비상대응팀장도 “우리가 계절 독감을 대하는 것처럼 코로나를 바라볼 수 있는 시점에 다가가고 있다”고 말했다.
윤다빈기자 empt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