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 강제성 부정 위해 ‘징용공’→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호칭 통일 ‘꼼수’

  • 뉴시스
  • 입력 2018년 11월 9일 06시 40분


코멘트
일본 정부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과 관련해 피해자가 강제로 동원됐다는 사실을 부정할 속셈으로 ‘징용공’이라는 호칭을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변경, 통일시켰다고 닛케이 신문이 9일 보도했다.

그간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자를 ‘옛 민간 징용자 등’이나 “옛 민간인 징용공‘으로 표현했는데 지난달 30일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에 대한 배상판결을 계기로 일률적으로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바꾸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강제징용자의 모집이나 알선 등 일본에 오게 된 경우가 다양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지적했지만 이들의 강제동원을 부인하려는 목적이 그 배경에 있다는 관측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 1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정부로서는 ’징용공‘이라는 표현이 아니라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의 문제‘라는 쪽으로 말하고 있다“고 밝혀 논란을 부르며 한국 측의 거센 반발을 샀다.

10월31일 회의의 배포자료에서 ’징용공‘이라고 적은 자민당 외교부회도 다음날인 이달 1일 회의에서는 ’전시 중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변경해 기재했다.

1939년에서 1945년까지 일본 내 공장과 광산에 끌려온 강제징용자 가운데 일본의 ’국민징용령‘에 따라 징용된 것은 1944년 9월 이후부터라고 한다.

그 이전은 민간기업이 모집하거나 행정기관에 의한 ’관(官) 알선‘이라고 일본 정부는 주장하고 있다.

아베 총리의 발언과 ’징용공‘ 호칭 변경은 당시 강제징용자 동원 과정에서 강제성이 없었다는 억지 주장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 분명하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