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부흥 이끈 ‘전자 제국’의 몰락… 열도 불안-초조감 증폭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1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4

■ 소니 신용 ‘정크’ 추락 충격

파나소닉을 시작으로 줄줄이 이어진 일본 전자업계의 어두운 전망은 일본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안겼다. 일본 국민과 함께 전후 부흥의 역사를 함께 써온 이 기업들이 일본 사회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이 정치적 우경화의 길을 걷는 배경으로 이 기업들의 침몰을 거론하는 분석도 많다. 세계시장을 석권하며 ‘Japan As Number One(세계 제일의 일본)’이란 찬양을 받던 이 기업들은 이제 패배자라는 불안감과 초조감을 외부에 표출하고 있다.

소니와 파나소닉의 신용등급 강등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 파나소닉은 당초 2012회계연도(2012년 4월∼2013년 3월) 흑자를 전망했으나 지난달 31일 7650억 엔(약 10조500억 원)의 당기순익 적자가 예상된다고 고백했다. 2년 연속 7000억 엔 이상의 적자가 나 최근 20년분의 순이익을 모두 까먹는 꼴이 됐다. 피치는 파나소닉의 재무구조에 대해서도 상당 기간 실질적인 개선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니는 7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고 올해 연간 매출액도 당초 전망보다 3%가량 내려 잡았다. 3개 기업의 주가는 올해 들어 모두 30여 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의 간판 전자회사들이 10년 전인 2002년보다 매출액과 이익이 늘어난 것에 비해 일본 기업들은 줄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일본 전자 삼총사의 전망은 더 심각하다. 피치의 지적대로 이제는 실적 악화가 아니라 재무 리스크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몰리고 있다. 파나소닉은 매출이 7조 엔대에 이르는데도 올해 상반기(4∼9월) 현금흐름이 230억 엔에 불과하다.

소니라고 사정이 나은 것은 아니다. 올해 실적 전망을 일단 흑자로 유지하긴 했지만 7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흑자 전망도 보험, 은행 등 금융사업에 기댄 것으로 본업인 전자사업은 적자를 면키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샤프는 올 회계연도에 4500억 엔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지분 매각과 인력 감축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하고 있지만 회생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피치는 올해 2월에 낸 보고서에서 이들 3개 업체를 ‘추락하는 천사’라고 불렀다. 후발 주자인 삼성전자, LG전자와의 경쟁력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는 가운데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다.

일본 언론은 이 기업들의 실패 원인에 대해 ‘갈라파고스 증후군’을 꼽고 있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에 독특한 생태계가 형성된 것처럼 세계의 흐름을 외면한 채 국내 시장에만 매달렸다는 것이다. 일본의 한 언론인은 “비단 기업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정치 흐름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꼬집었다.

전자 삼총사의 몰락에 일본이 받는 충격은 단순한 경제문제 차원이 아니다. 이 기업들의 성공 신화는 패전국 일본이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과정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소니는 ‘워크맨 신화’를 쓴 모리타 아키오(盛田昭夫·1921∼1999) 전 회장이 창업한 회사로 일본의 기술과 혁신의 대명사였다. 모리타 회장은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일본유신회 대표와 함께 미국을 겨냥해 ‘노(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파나소닉은 일본인이 ‘경영의 신(神)’으로 추앙하는 마쓰시타 고노스케(松下幸之助·1894∼1989)가 창업한 마쓰시타전기의 후신이다. 샤프는 창업자 하야카와 도쿠지(早川德次·1893∼1980)가 1912년 창업한 회사로 ‘샤프펜슬’을 비롯해 세계 최초로 탁상용 전자계산기와 카메라폰을 개발한 기업이다.

도쿄=배극인·박형준 특파원 bae2150@donga.com
#소니#일본#파나소닉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12-11-23 11:54:56

    "저주 받은"비디오""링"이었을 때는 경제가 활황이었는데,"저주 받은"엠피쓰리""링"이 되니까"(한 방에) 열도가 불안해졌다."는 것은 그만큼 일본이 특정 경제 조건에"굉장히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고, 중국도 그 점을 인지하고 있다는 판단입니다.

  • 2012-11-23 11:46:11

    1. (뱉어 놓은 말 못 줏어담으니) 마지막 애국 의지를 불살라 여러 명"쎗뿌꾸를 해놓으라"든지 아니면 1."잘 봐 달라."고 노력을 하든지 해야지, 2."나잘났소"총리들만 왕성히 활동하면서 조선을 인질로 일본 경제 불황을 타개하려고 해서는 염치 없다는 것이죠.

  • 2012-11-23 11:40:26

    딱지치기 놀이는 힘이 중요하지만, 기하학이나 주판 놀이에는"황금율"이라는 것이 있는데, 일본 정부가 국민들에게 애국 의지를 고무시키며 아전인수격 규제 완화를 강행하니까, 국민들도 따라서"국민 총화 도박판"을 벌여 놨으니 다시 1."국민 총화 막노동판"으로 가든지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