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 결국 민간소비에 달렸다

  • 입력 2009년 6월 26일 02시 51분


시카고선물거래소 활기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초저금리 유지 정책을 발표한 24일 시카고선물거래소의 딜러들이 시장 반응을 살피며 분주히 주문을 내고 있다. FRB는 이날 제로 수준인 정책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국채 매입을 통해 시중에 돈을 푸는 ‘양적 완화’ 정책도 유지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시카고=블룸버그뉴스
시카고선물거래소 활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초저금리 유지 정책을 발표한 24일 시카고선물거래소의 딜러들이 시장 반응을 살피며 분주히 주문을 내고 있다. FRB는 이날 제로 수준인 정책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국채 매입을 통해 시중에 돈을 푸는 ‘양적 완화’ 정책도 유지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시카고=블룸버그뉴스
■ 美FRB, 제로금리 유지… ‘유동성 환수’ 등 출구전략 유보

국내증시 반등세로 전환…개인소비 늘어야 선순환

25일 글로벌 증시는 일단 한숨을 돌렸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제로금리 정책을 유지하는 데 손을 들어줬기 때문이다. 기업의 이익이 늘지 않아 초조해하던 시장이 유동성 환수라는 최악의 악재를 피한 것이다.

세계적인 정책금리 상승세에 일단 제동이 걸리면서 국내 증시도 장중 1,400 선을 회복했다. 하지만 국내 증시가 3분기(7∼9월)부터 본격적인 ‘서머랠리’를 시작하는 데는 걸림돌이 적지 않다. 특히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라는 응급처치로 간신히 살아난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하려면 민간 소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제로금리 유지에 글로벌 증시 안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FOMC는 25일(현지 시간) 이틀간의 회의를 마친 후 발표문에서 정책금리를 연 0∼0.25%인 현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9월 중순까지 예정된 3000억 달러의 국채 매입과 연말까지 계획된 최대 1조2500억 달러의 모기지유동화증권(MBS) 매입 등 총 1조7500억 달러 규모의 채권 매입을 통한 ‘양적완화’ 정책도 유지하기로 했다. 재정지출 확대, 금리인하 등 재정 통화 부양책을 거둬들이는 ‘출구전략(exit strategy)’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은 경기회복이 급선무라는 결정을 내린 셈이다.

최근 1,360 선까지 밀렸던 국내 증시도 이날 미국발(發) 호재의 영향으로 전날보다 28.94포인트(2.12%)나 오른 1,392.73 선에 거래를 마쳤다. 일본과 홍콩 증시도 이날 2%가량 상승했다. 메리츠증권 심재엽 투자전략팀장은 “국내 증시는 미국 FOMC의 발표로 심리적인 불확실성이 사라진 데다 기관투자가들의 월말 수익률 관리를 위해 주식을 대량으로 사들이면서 큰 폭의 회복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 정책효과 갈수록 줄어들 듯

이날 FOMC의 발표로 정책금리 상승의 우려는 줄었지만 3분기에 국내 경기와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 가기는 쉽지 않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정부가 본예산과 추가경정예산을 합한 272조8000억 원의 60%(160조8000억 원)를 상반기에 집중 투입해 경기회복을 이끌었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정책효과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결국 정부가 퍼부은 마중물이 떨어지기 전에 민간 소비가 살아나야만 경기가 다시 고꾸라지지 않고 회복세를 이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일단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가격 상승과 재정지출 효과로 소비선행 지수인 소비자심리지수(CSI)는 살아나는 추세다. 정부는 재정지출의 확대와 고용유지 정책이 민간 소비 증가→기업의 투자 증가→기업의 고용 창출→민간 소득 증가라는 선순환 구조로 전환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가계의 부채상환 부담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일자리 나누기’나 공공근로 수준의 고용으로는 소비가 늘어나는 게 쉽지 않다. 신영증권 김세중 투자전략팀장은 “환율은 상반기에 비해 하락하고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은 상승해 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에게 가격을 전가시키는 것도 쉽지 않아 기업 투자도 늘어나기 힘들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가계가 부채를 충분히 줄이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비가 증가하는 시점도 가계의 자산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이후에야 올 것으로 보고 있다.

정세진 기자 mint4a@donga.com

뉴욕=신치영 특파원 higgled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