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랄海 사막으로 변하나… 러시아 유입강물 차단탓

  • 입력 2005년 9월 29일 03시 03분


코멘트
한때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내륙바다였던 중앙아시아의 아랄 해(海). 급속한 사막화로 이대로 방치할 경우 15년 뒤면 지구상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아랄 해를 일부라도 보존하기 위해 카자흐스탄이 나섰다. 그러나 보존 작업은 자국에 속한 아랄 해의 북부에 한정될 뿐 아니라 이런 노력이 오히려 아랄 해 남쪽 부분의 사막화를 촉진할 전망이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라도 살리자=산유국인 카자흐스탄은 최근 고유가에 힘입어 벌어들인 막대한 재정을 아랄 해 복원에 투자하고 있다. 모두 2억500만 달러가 자국 영토 내에 있는 ‘소아랄’에 투여되고 있는 것.

소아랄은 세 부분으로 나뉜 아랄 해의 북부지역. 카자흐스탄은 2010년까지 소아랄 해수 면적을 1960년대의 3분의 2 수준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에 따라 소아랄을 에워싸는 거대한 댐이 확장되고 이곳으로 흘러드는 시르다리야 강의 누수를 막기 위한 제방공사도 진행되고 있다.

문제는 댐이 조성되면 아랄 해 남쪽으로 흘러가는 물줄기가 막혀 버린다는 점. 아랄 해의 남쪽 절반을 가지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은 재정이 여의치 않아 속수무책으로 사막화를 바라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아랄 해 남쪽은 죽음을 눈앞에 둔 불치병 환자와 같다”고 진단하고 있다.

▽40여년 만에 4분의 1로 준 아랄 해=20세기 중반만 해도 아랄 해는 남한의 4분의 3에 맞먹는 약 7만 km²의 면적을 자랑했다.

그러나 1960년경부터 소련 정부는 중앙아시아에 대규모 목화 재배지를 조성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를 위해 아랄 해의 주요 수원(水源)인 시르다리야 강과 아무다리야 강의 물길을 돌려버렸다.

이때부터 아랄 해는 흘러드는 강물의 양이 대폭 줄어들었고, 오늘날에는 1960년대에 비해 면적은 4분의 1로, 수량은 10분의 1로 줄어들었다. 바닷물의 3분의 1 정도였던 염도도 지금은 바닷물의 2배에 이르고 있어 철갑상어 잉어와 같은 어류가 급격히 줄고 있다.

또 수십 년간 농약과 비료로 오염된 호수 바닥의 소금먼지가 수백 km를 날아다녀 인근 국가 주민들의 건강을 해치고 토지를 황폐하게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아랄 해 인근 카자흐스탄의 도시 아랄스크는 각종 빈혈과 암, 결핵 등 질환이 만연해 주민의 건강이 세계적으로 가장 나쁜 도시로 변했다.

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