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형 인간, 아침형 인간보다 ‘이것’ 위험 높다”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9월 13일 17시 02분


코멘트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올빼미족으로 불리는 ‘저녁형’ 인간(night owl)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early bird)보다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의 시나 키아너시 역학·생물통계학 교수 연구팀이 ‘간호사 건강 연구(NHS) II’에 참여한 여성 간호사 6만3천676명으로부터 18년간(2009~2017)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12일 보도했다.

이 중 틀림없는 ‘저녁형 인간’은 11%, 확실한 ‘아침형’ 인간은 35%였고 나머지는 ‘저녁형’도 ‘아침형’도 아닌 ‘중간형'이거나 어느 두 그룹 중 하나에 들어가기엔 다소 부족했다.

연구 기간 내 이들 중 1925명이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생활 습관 요인들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저녁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보다 당뇨병 발병률이 72%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식습관, 체중, 수면 시간, 흡연, 음주, 운동, 교대 근무, 당뇨병 가족력 등 모든 다른 변수들을 고려해도 ‘저녁형’ 인간의 당뇨병 위험은 ‘아침형’ 인간보다 19% 높았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 중에서 가장 건강한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 중 단 6%만이 ‘저녁형’ 인간이었다. 반면 건강에 가장 해로운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 중 25%가 ‘저녁형’ 인간인 것으로 드러났다.

‘저녁형’ 인간은 특히 음주량이 많고 식단의 질이 낮고 수면 시간이 적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등 건강에 좋지 않은 습관을 갖고 있었다.

‘저녁형’ 인간과 당뇨병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은 주간에 근무하고 야근은 하지 않는 간호사들에게서만 나타났다.

‘저녁형’ 인간은 시간 유형(chronotype)을 근무 시간과 매치시키지 않아도 당뇨병 위험이 높았다. 이는 자기 자신이 택한 시간 유형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건강에 좋지 않은 습관과 당뇨병 위험 성향이 ‘저녁형’ 인간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어 연구팀은 다음 연구에서는 시간 유형을 결정하는 유전적 요인이 있는지, 시간 유형이 당뇨병 외에 심혈관 질환과도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과 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김예슬 동아닷컴 기자 seul56@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