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열린 행사에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하이퍼클로바 X’ 사업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제공
네이버가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 X’ 경량형 모델을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배포했다. 생성형 AI 모델을 상업적 목적으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국내 기업 중에서는 처음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 X의 경량 모델인 ‘하이퍼클로바 X 시드(SEED) 3B’, ‘하이퍼클로바 X 시드 1.5B’, ‘하이퍼클로바 X 시드 0.5B’ 등 3종의 개발을 완료하고, 이 모델들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오픈소스 모델은 연구용으로만 사용 가능했던 기존 국내 기업들의 주요 모델과 달리 상업적 목적으로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비용 부담이나 라이선스 제한 등의 문제로 생성형 AI 도입을 망설였던 중소기업들을 중심으로 국내 AI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네이버의 설명이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 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추론 모델을 상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최근 가장 니즈가 많은 모델이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이었다”면서 “기업들이 그래픽처리장치(GPU)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김 대표는 미중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AI 주권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소버린 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이며,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며 “일상에 밀착한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탄탄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