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즘-기술력 한계 겹치며 경영난
EU 전기차 韓中日 의존 심화될듯
유럽 최대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스웨덴 노스볼트가 현지에서 파산 신청을 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파산 절차에 돌입하고 신규 자금 조달 등 경영난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지만 결국 해법을 찾지 못하고 본사가 있는 스웨덴에서도 파산에 이른 것이다.
노스볼트는 12일(현지 시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회사의 미래를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찾으려 노력했지만 노스볼트 이사회는 파산 신청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노스볼트는 “최근 몇 달간 자본 비용 상승과 지정학적 불안정, 시장 수요 변화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며 “이 과정에서 잠재적 파트너 및 투자자의 관심을 끌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 미래를 위해 필요한 계약을 체결하지 못했다”고 했다.
노스볼트는 테슬라 전 임원 2명이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에 대한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겠다며 2015년 설립했다. 스웨덴뿐 아니라 전체 유럽연합(EU) 완성차 업체들의 지지를 받으며 일약 글로벌 배터리 업계의 주요 플레이어로 떠올랐지만 기술력 한계와 전기차 캐즘(수요 정체) 등 악재가 겹쳐 경영난을 겪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파산보호를 신청할 당시 노스볼트의 현금 자산은 3000만 달러였던 반면에 부채는 58억4000만 달러에 달했다.
노스볼트의 파산으로 EU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의 동아시아 의존도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EU 집행위원회는 5일 ‘유럽 자동차 부문 산업행동계획’을 발표하면서 유럽산 배터리 사용을 늘리기 위해 2년간 18억 유로(약 2조8000억 원)를 지원하기로 한 상태다.
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