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G3도약 골든타임 2년”… AI 일상화에 올해 7102억 투입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4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민관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
AI 법률-의료-교육 서비스 활성 등
경제 전반에 AI 정착시켜 성장 꾀해
“전환 성공땐 年310조 경제 효과”

향후 2, 3년 내 국내 경제 전반에 성공적으로 인공지능(AI)이 도입되면 2026년부터 매년 310조 원에 달하는 경제효과가 창출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는 ‘AI 임팩트’를 위해 정부는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등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수장과 학계 전문가를 총동원해 ‘AI전략최고위협의회’를 꾸리기로 했다.

● 삼성, 네카오 등 민간 총출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협의회 공동위원장을 맡았고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사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 유회준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조성배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등 민간 전문가 23명이 민간 위원으로 참여했다. 여기에 주요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 7명까지 합류해 총 32명이 협의회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날 첫날 회의에 참석한 박상욱 대통령과학기술수석비서관은 “AI는 모든 기술에 적용돼 파괴적인 혁신을 일으키고 사회적인 영향력도 막강할 것”이라며 “AI의 여러 차원과 층위를 아우르는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협의체가 출범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장관도 “국민과 기업이 빠르게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후속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AI 분야에서 속도를 강조하는 것은 ‘AI골든타임’이 길어야 2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2년 이내에 한국 사회에 AI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지 못할 경우 글로벌 6위 정도인 한국의 AI 수준을 끌어올릴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한국경제인협회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글로벌AI 지수 1위는 압도적 차이로 미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2위는 중국, 3위 싱가포르, 4위 영국, 5위 캐나다 순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한국이 2년 안에 AI 대전환을 이룰 수 있다면 ‘AI 주요 3개국(G3)’에 충분히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협의회에서도 중국과 필적할 만한 ‘AI G3 도약’을 목표로 내걸었다.

● AI 일상화에 적극 나서

과기정통부는 AI 대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경제적 효과(AI 임팩트)가 연간 310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2236조 원의 13%에 달하는 수치다.

과기정통부와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의 공동조사에 따르면 AI 융합 신제품 출시 등을 통해 연간 매출은 123조 원 증대되고, 비용은 187조 원 절감된다. 분야별로는 서비스업 135조 원, 제조업 77조 원, ICT산업 24조 원 등의 경제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됐다. 매출 증대가 GDP로 연결될 경우 2026년부터는 AI 도입이 성공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 연평균 최대 1.8%포인트 수준의 추가 경제성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분석됐다.

정부는 AI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7102억 원을 투입해 국가 전반의 ‘AI 일상화’에 나선다. 현재 약 28∼55% 수준에 불과한 일상·기업·공공 AI 도입률을 60∼80%까지 높일 계획이다.

AI를 통해 계약서나 소장 등 서류 작성 시간을 단축하고 유사 판례를 쉽게 찾는 ‘초거대AI 법률 서비스’, 소아 건강 상담과 관리를 지원하는 ‘초거대AI 의료서비스’ 등을 도입할 예정이다. 공공 부문에서는 AI 등을 활용한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통해 미세한 산불 조짐 등을 감지하는 ‘산불화재 감지 솔루션’ 등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 외에도 AI 인재 확보를 위해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신규 17개교를 지원하고, 의과대학 내에는 ‘의료 AI 정규과정’을 개설한다. AI 학습에 활용된 데이터의 편향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을 통해 AI의 신뢰성 확보에도 나선다.

AI 인프라 및 연구개발(R&D)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정부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불붙고 있는 AI 반도체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신경망처리장치(NPU)와 지능형반도체(PIM)를 고도화하고, 저전력 AI 반도체를 발전시켜 AI 데이터센터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 관련 데이터가 폭증할 경우에 대비해 AI를 기반으로 기지국을 저전력화하고, 6세대(6G) 네트워크를 상용화해 효율적 네트워크를 구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전남혁 기자 forward@donga.com
남혜정 기자 namduck2@donga.com
#ai일상화#ai전략최고위협의회#인공지능#ai임팩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