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인하 압박에…이창용 “고통 분담 차원”

  • 뉴시스
  • 입력 2023년 6월 19일 17시 08분


코멘트

추 부총리 라면 가격 인하 발언에 이 총재 긍정적 해석
정부 하반기 경기 대응에 “정책 공조 잘되고 있다”
가계 대출 현안에 공감대 강조

이창용 총재가 경제 현안에 대해 정부와의 공감대를 강조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장관의 라면 가격 인하 압박에 대해 우회적으로 찬성의 입장을 내비쳤고, 정부와 한은의 정책 공조에서도 자신감을 보였다.

이 총재는 19일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추 부총리의 라면 가격 인하 압박에 “물가가 많이 떨어지는 국면에서 기업의 마진이 많이 올라갔다”면서 “기업들도 원자재 가격이 많이 떨어졌으니까 고통을 분담해 달라는 정치적 말씀으로 해석된다” 말했다.

앞서 추 부총리는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지난해 말 크게 오른 라면값에 대해 “기업들이 밀 가격을 내린 부분에 맞춰 적정하게 내렸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정부가 물가를 누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물가가 빠르게 상승할 때는 모든 나라가 관리를 하게 된다”면서 “지난해 물가상승이 빠를 때 정부가 부득이하게 특정 품목은 수급조정을 통해서 물가를 관리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가격 등도 해외에 비하면 우리가 덜 올린 편”이라면서 “점차 정상화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간담회 내내 정부와의 협조를 강조했다. 정부가 하반기 경제 정책의 무게 중심을 물가 안정에서 경기 대응으로 이동시키며 한은의 금리 압박이 커질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이 총재는 “경기 상황과 관계없이 정부와 한은의 정책 공조는 매우 잘되고 있고 계속해서 잘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가계 대출 디레버리징(감축)에 대해 금융당국과 시각차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그는 “금리수준이 상당히 올랐음에도 최근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이 (정부) 지원책에 의한 단기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다시 추세적으로 자리잡는 것인지 보고 있다”면서 “한은뿐 아니라 기재부, 감독당국 모두 국내총생산(GDP) 대비로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가 최근 한일 통화스와프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 이 총재는 “경제적 요인보다는 한국과 일본의 국제 관계 정상화, 경제협력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다”면서“ 꼭 환율 안정성이 아니라도 한일간 경제교류, 기업 투자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일종의 (양국) 경제 관계가 다시 회복됐다는 상징적 중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