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장애인用 IT-가전 더 나와야”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7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사회적 약자들 쓰기 편하게 맞춤형 스마트폰-TV등 개발을”
고령사회 앞두고 재계 이슈로 정부-업계 기술표준화 속도내야

사회적 약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노약자용 보조기구 및 제품을 표준화하는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국가기술표준원 연구원이 KS 규격을 설명하는 모습.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사회적 약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노약자용 보조기구 및 제품을 표준화하는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국가기술표준원 연구원이 KS 규격을 설명하는 모습.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고령사회(2018년) 진입을 앞두고 정보기술(IT) 및 가전제품에 대한 사회적 약자 층의 차별적 접근성 문제가 재계에서도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장애인 및 고령자 비율이 국민 6명 중 1명꼴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가전·IT 업계부터라도 사용편리성을 높인 제품 개발과 함께 국제 표준화 작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지적한다.

7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한국은 2000년 총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2%로 고령화사회가 된 데 이어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한다. 2026년에는 고령 인구 비중이 20.8%로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을 기준으로 보면 등록 장애인 252만 명, 65세 이상 고령자는 609만 명에 이른다. 첨단 IT 기기나 가전제품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웃들이 수백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권리 및 지원에 관한 법과 제도를 잘 갖추고 있다. 1990년에 제정된 미국의 ‘장애인법’을 시작으로 호주(1992년), 영국(1995년), 스웨덴(1999년), 독일(2000년) 등이 유사한 법률을 제정했다. 모든 공공서비스, 통신 및 교통시설, 편의시설 이용 등에 관한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차별을 금지하는 게 골자다. 국내에서도 2008년 ‘장애인 차별 금지법’이 만들어졌지만 공공시설물의 보도블록과 주차장, 점자책, 금융(ATM) 등을 제외하면 산업계 전반의 참여와 일반인의 관심은 아직 저조하다는 지적이 많다.

가전·IT 업계도 이런 사회 변화에 대비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TV, 냉장고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핵심은 표준이다. 이지용 LG전자 제품시험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국내외 장애인 단체, 접근성 관련 연구기관 등과 긴밀하게 협업해 보다 고객지향적인 제품을 개발 중”이라면서 “정부, 단체, 업체 간의 지속적인 기술표준화 논의가 이뤄져야 취약계층의 사용편리성을 보다 빨리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그동안 장애인용 보조기구와 의지(義肢)·보조기 등 고령자 및 장애인용 제품에 대한 KS 표준 95종을 제정했고, 올해 9종을 추가 제정할 계획이다. KS 규격인 ‘고령자와 장애인을 위한 가전제품 설계 가이드라인’을 11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 국제표준으로 제안하기로 하는 등 국내 기술의 국제표준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제대식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고령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는 사용상 안전과 품질 성능이 보장돼야 해 표준과의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사회적 배려계층에 대한 삶의 질 향상과 신성장 산업 확보를 위해 글로벌 표준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창덕 기자 drake007@donga.com
#고령#장애인#it#가전#국가기술표준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