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개발해 코레일 빚 해결” 2006년 시작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3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 누가 어떤 결정 내렸나

용산 개발사업이 파산 위기에 몰리면서 고비 때마다 주요 결정을 내린 사업 최고 책임자들에게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용산 개발사업은 2006년 노무현 정부가 고속철도 건설로 불어난 코레일의 빚 4조5000억 원을 “부동산 개발로 해결하자”고 제시하면서 시작됐다. 코레일이 보유한 용산 철도정비창 터 44만 m²를 팔아 빚을 갚고 민간 사업자가 초고층 빌딩, 쇼핑몰, 호텔, 백화점을 개발해 이익을 갖는 방식이었다.

그해 12월 이철 당시 코레일 사장은 땅을 매각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직접 개발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후 지분 25%를 소유하며 최대 주주가 됐다.

사업자 공모가 시작된 2007년 서울시가 반발하고 나섰다.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한강 르네상스’ 사업 연장선에서 서부이촌동을 개발 대상에 포함시킬 것을 강하게 밀어붙였다. 결국 서부이촌동을 포함한 통합 개발이 추진됐고 사업용지는 57만 m²로 확장되며 사업비는 31조 원으로 뛰었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는 “복잡한 보상 문제가 얽힌 주거지역이 포함되면서 개발 사업자들은 애물단지를 끌어안은 꼴이 됐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업 전망에 대한 우려가 쏟아졌다. 2009년 드림허브가 토지대금을 내지 못한 상황에 처한 데 이어 2010년 사업주간사회사였던 삼성물산은 자금조달 문제로 코레일과 갈등을 겪다가 사업에서 손을 뗐다.

당시 허준영 코레일 사장은 사업 정상화를 위해 2010년 3차례에 걸쳐 사업협약을 변경했다. 코레일이 4조 원이 넘는 랜드마크 빌딩을 우선 매입하고 토지대금 2조3000억 원의 납부 시한을 연장해주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그러자 코레일의 자금 부담을 지나치게 늘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허 전 사장은 “계획대로 사업이 잘 진행됐다면 오히려 코레일이 최대 수혜자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2월 정창영 사장이 부임하며 코레일은 기존 사업의 틀을 깨고 ‘단계적 개발’을 내세우기 시작했다. 정 사장은 지난달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어떤 전문가에게 물어봐도 최초 계획에 현실성이 있다는 사람이 없다. 이 상태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모든 책임을 코레일이 지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출자사 측은 “정 사장이 주주들이 합의해놓은 자금조달, 사업방식에 모두 제동을 걸며 결국 사업을 이 지경까지 몰고 왔다”고 비난했다.

정임수·박재명 기자 imsoo@donga.com
#용산개발#코레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